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06
걸쳐 발달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먼저 후각이 발달하면서 냄새에 예민해졌다. 그
뒤
엔 몸에 난 털을 이용해 촉각이 발달했다. 마지막 단계에서 감각기관이 우수해져 두뇌와 근육의연결, 즉 신경 네트워크도 점점 더 발달했다. 근육을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됐다. 고대포유류가 다른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106
사진을 위도와 경도 1°씩 잘라 작은 단위로 만들어 얼마나 밝은지 1년 단위로 측정한
뒤
세계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GDP와 비교했다. 그 결과 도시가 밝으면 GDP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에 더 잘 맞아떨어진다”며 “미국과 호주와 같은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06
아직까지 인류가 검출하지 못한 ‘암흑물질’의 정체를 놓고 최근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암흑물질 후보인 ‘윔프’ 입자의 흔적을 찾을 ...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료가 축적되는 3년
뒤
에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6
진행하겠다”고 말했다.일부에서는 이번 안전성 입증 조사에 대해 “부작용 논란을 1년
뒤
로 미룬 셈”일뿐이라며 앞으로도 부작용 논란은 해소되지 않고 게보린과 사리돈에이의 시중판매만 계속될 거라고 보기도 한다. 또 입증 책임을 당사자인 제약사에게 맡기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도 많다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06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서 박사는 발을 두 손으로 잡고 위로 당기거나 종아리에서
뒤
꿈치까지 다리의 안쪽과 바깥쪽을 쓸어내리고, 또는 발가락 사이를 벌리고 발가락을 하나씩 돌리며 뽑듯이 살짝 잡아당기는 방법을 제시했다. 발마사지는 한 부위를 5분 이상 하는 것보다 1분씩 3~4회 반복하는 것이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06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인자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생명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분자가 됐다. 앞으로 p53 연구가 인류의 암 정복 여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06
유망한 학과만을 따라가다가는 정작 자신이 무엇 때문에 노력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뒤
늦게 방황하는 경우가 많다. 입시 또한 마찬가지다. 입시제도만 쫓아가다 보면, 준비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매년 달라진 입시제도가 발표될 때마다 마음을 들썩일 게 아니라, 어느 학교에서든 탐나는 학생이 ... ...
"수학의 달, 꼭 만들어 주세요"
수학동아
l
201106
멩거스펀지를 만들어 총 200개를 쌓아 올렸다. 곧이어 커다란 멩거스펀지를 완성한
뒤
여기에 수학의 달 지정을 기원하는 메시지를 적으며 행사를 마무리했다.천안 용암초 4학년 장영은 양은 “우리나라에서 2012년 국제수학교육대회와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가 열린다” 며 “잘 개최되길 바라고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
수학동아
l
201106
방식이어서 무대
뒤
에서는 어느 때보다 긴장감이 돌았다. 한 조에 속한 두 참가자는 무대
뒤
에서는 사이좋게 연습했지만 무대를 내려올 때면 운명이 정반대가 돼 잔인함마저 든다.둘의 운명을 갈라놓는 방식은 수학의 ‘퍼지이론’ 으로 설명할 수 있다. 퍼지이론은 논리 값이 참(1)이나 거짓(0) 둘 중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06
이루는 점의 개수는 4×3=12와 같이 쉽게 셀 수 있지. 즉 직사각형의 점의 개수를 먼저 구한
뒤
에 반으로 나누면 처음의 삼각수가 얼마인지 쉽게 알 수 있다는 거야. 이것을 일반화하면 1부터 n까지의 합인 n번째 삼각수 2개를 더해 가로와 세로가 각각 n+1, n개의 점으로 이뤄진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