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뒤"(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2016.09.12
- 구조적으로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37억 년 전도 생명체가 지구에 나타나고 한참 뒤인 시점일 거라고 추측했다. 즉 지구 생명의 역사가 40억 년이 넘는다는 게놈비교를 통한 계산의 결과가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구 역사 45억 년에서 90%는 생명체와 함께 했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 ...
- 생존율 한자리 수, 췌장암의 습격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담도암은 간외 생긴 암을 말한다. 담도암이 췌장암의 사망률과 발생률에서 췌장암의 뒤를 잇는 이유는 초기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기 때문이다. 대개 간기능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돼 복부 초음파 검사를 했다가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 역시 가려움이나 복부 통증, 체중감소, 피로감 ...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동아사이언스 l2016.09.11
- 일 미국 하버드대와 브라질 상파울루대 등 국제공동연구진은 지카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뒤 원숭이에 접종해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8월 2일 사람을 대상으로 백신 임상시험에 들어가기도 했다. 현재는 18∼35세 연령대의 건강한 지원자 8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진행 ...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2016.09.07
- 말이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화학자들은 용액에 콜레라독소분자와 당분자를 함께 넣은 뒤 결정을 만들었다. 그리고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분석한 결과 콜레라독소분자가 O형 당분자와 더 단단히 결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소장 세포 표면에는 콜레라독소분자의 타깃인 GM1뿐 아니라 혈액형 ... ...
-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09.02
- 정서가 조성돼 성공적인 수학 교육의 통합을 이뤄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통일 뒤 또 하나의 문제는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생긴 편견이다. 북한 출신 학생을 많이 접한 전형국 교사는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 학생들과 여명학교 학생들이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어요. 그때 한 ...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이를 위해선 세포의 굴절률을 알아야 하는데, 기존 방법으로는 세포를 해체한 뒤 각 소기관의 굴절률을 측정해야 했다. 살아 있는 상태에서의 측정이 불가능한 것이다. 이에 최 부단장은 살아 있는 세포에 다양한 각도에서 빛을 비추며 얻은 여러 '투영 이미지'로부터 내부 굴절률의 분포를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앞서 지난해 7월에는 미국 콜로라도대 정재웅 교수팀이 쥐의 뇌에 미세 장치를 탑재한 뒤 빛으로 행동을 조종하는 데 성공해 '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초소형 LED와 원통 모양의 미세한 관을 결합해 머리카락보다 가는 장치를 만들어, LED를 켜 빛을 비추면 도파민이 분비돼 쥐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2016.08.29
- 초속 0.5mm 정도다. 슈타인하우어는 몽블랑 만년필 모양의 길이 수mm인 관에 원자를 가둔 뒤 레이저로 가속시켜 어느 지점에서 음파의 속도를 넘게 조작하는데 성공했다. 즉 음향 블랙홀을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때 사건의 지평선 부근에서 발생한 가상의 포논쌍이 헤어지면서 하나는 블랙홀 내부에서 ...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2016.08.22
- 해봤다. 공간을 반으로 나눠 한쪽 바닥은 33도로, 다른 쪽 바닥은 아래 온도로 맞춘 뒤 정상생쥐(검은색)와 TRPM2 유전자가 고장난 생쥐(빨간색)가 머무는 시간을 비교했다. 33도/38도를 보면 정상생쥐는 불쾌한 고온(38도)에서 머무는 시간이 20%가 안 되는 반면 변이 생쥐는 60%나 된다. 반면 33도/4 ... ...
- 등골이 서늘해지는 공포영화의 비밀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8.18
- 한 것이다. 왓슨은 아이에게 흰쥐를 보여주고, 아이가 흰쥐에게 다가갈 때마다, 등 뒤에서 '쾅!'하고 큰 소리를 냈다. 처음엔 흰쥐에 아무 경계심이 없었던 아이는 실험이 여러 번 반복되자 큰 소리를 내지 않아도 흰쥐만 보면 울음을 터뜨렸다. 아이에게 '흰쥐=큰소리(공포)'라는 것이 학습된 것이다.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