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 ‘흑린’ 대량생산 방법 찾아냈다
2016.04.06
흑린 실용화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나노
표면
연구팀 책임연구원 팀은 박병남 홍익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액상 박리법을 이용해 흑린 덩어리에서 결정성 높은 원자층 단위의 흑린 박막을 얻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흑린 박막을 ... ...
“G5 몸체가 칼로 긁히는 플라스틱? 특수 알루미늄에 바른 도료입니다”
동아일보
l
2016.04.06
프라이머라는 도료를 발라서 면을 매끄럽게 한 뒤 도장하는 방식이다. 주조하게 되면
표면
이 칼로 깎은 것만큼 균일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도료를 발라 작은 크기의 컬러 입자를 부착하는 공법이다. 마치 얼굴에 색조 화장을 할 때 발색이 더 잘되도록 프라이머 화장품을 바르는 것과 같은 이치다. ... ...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분화시키는 효율을 4배 높였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멍의 크기가 다양한 나노
표면
을 만든 뒤 그 위에서 줄기세포가 췌장베타세포로 분화하는 효율을 관찰했다. 그 결과 구멍의 크기가 2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일 때 분화 효율 31%로 분화가 가장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평한 ... ...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4.04
사실은 플레어가 발생하는 태양 대기가 태양의
표면
보다 온도가 높다는 점이다. 태양
표면
의 플라스마 온도가 6000K인데 그 상층 대기라고 할 수 있는 코로나의 플라스마 온도는 100만~200만K에 이른다. 몇몇 태양물리학자들은 플라스마가 가진 자기력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 ...
[토요일에 만난 사람]새벽 2시에 자고 4시면 일어나… 그에겐 남들 3배의 시간이 있다
동아일보
l
2016.04.02
대체해 비용을 낮추면서,
표면
에 티타늄 산화층을 입혀 뼈 속 결합력을 높인
표면
처리 기술을 인정받았다. 선 박사는 올해부터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세계 인공관절 시장 규모는 약 15조 원, 국내시장 규모는 23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 시장은 매년 꾸준히 4∼5%씩 성장한다. 선 ... ...
지카 바이러스 자세한 구조 첫 확인
2016.04.01
말했다. 지카 바이러스가 뎅기열 바이러스와 다른 점도 확인됐다. 지카 바이러스의
표면
돌기는 당단백질로 이뤄져 있는데, 특정 아미노산(아스파라진154) 주변이 뎅기열 바이러스와 다르게 나타났다. 논문의 제1 저자인 데비카 시로히 퍼듀대 박사과정 연구원은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나노막대를 코팅한 뒤, 신경세포의 활성 여부를 전기 신호로 측정할 수 있는 신경세포 칩
표면
에 결합한 것이다. 연구팀의 광-전기 복합 자극 칩은 신경세포의 활성을 촉진할 때는 기존의 전기 자극을 사용하고, 억제할 때는 광열 자극을 사용한다. 복잡한 유전자 조작 없이 빛으로 활성 억제가 ... ...
LG G4 유저의 삼성 갤럭시 기어S2 개봉·사용기 (下)
동아사이언스
l
2016.03.25
가지고 있습니다. 유리의 원료가 되는 석영은 경도가 7이지만 아무래도 가공 과정에서
표면
을 매끄럽게 바꾸기 때문에 경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끝이 매우 날카로운 커터칼의 칼끝 은 경도가 7입니다. 당연히 일반 유리를 칼끝으로 긁으면 눈에 띄게 흠집이 보입니다. 그렇다면 ... ...
혜성에 간 ‘로제타’도 명왕성 간 ‘뉴호라이즌스’도 ‘이것’ 탑재
2016.03.25
카바이드(SiC)’로 제작됐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2014년 인류 최초로 혜성의
표면
을 촬영한 탐사선 ‘로제타’와 지난해 지구에서 약 50억 ㎞ 떨어진 태양계 최외곽의 명왕성을 촬영한 탐사선 ‘뉴호라이즌스’에 탑재된 카메라는 모두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제작됐다. 심(深)우주로 ... ...
12억년만에 지구에 온 ‘초신성의 마지막 빛’
동아일보
l
2016.03.24
성공했다고 CNN이 22일 보도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동영상을 보면 붉은색 별의
표면
에 흰빛의 소규모 폭발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다가 눈부신 섬광의 충격파를 뿜으며 확장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천체물리학자들이 ‘쇼크 브레이크아웃’이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과거에는 X레이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