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점 이용해 유기태양전지 효율 18% 끌어올려
2016.02.23
껍질처럼 감싼 형태다. 이렇게 만든 소자는 그래핀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균일한
표면
덕분에 전하가 빠르게 이동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소자는 ITO전극 위에 고분자만 올린 기존 소자보다 효율이 17.8%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 빛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은 최대 10.3%를 기록했다. 안정성도 ... ...
LG G5, 결합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전혀 다른 제품으로 변신
동아닷컴
l
2016.02.22
G5의 디자인과 성능도 전작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아주 작은 크기의 색 입자를 금속
표면
에 입히는 ‘마이크로 다이징’ 기법을 사용해 디자인의 고급스러움을 살렸다. 또 이음새가 전혀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들었다. 후면에는 각각 135도, 78도의 카메라 2대를 설치했다. 사람의 시야각이 약 120도이기 ... ...
인간이 달에 버린 쓰레기들
팝뉴스
l
2016.02.22
지구로 귀환하며 인간 우주인들은 귀중한 월석 등을 가져오는 대신에 많은 것을 달
표면
에 놔두고 왔습니다. '쓰레기 무단 투기‘와도 같은 행동이었죠. 먼저 달에는 인간 몸에서 나온 것들이 남아 있습니다. 달에 있는 인간 배설물은 총 96팩에 달합니다. 우주인들은 필름만 가져오고 12개의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 출연연 벽 허물고 뭉친 ‘어벤저스’
2016.02.19
지난해 출범한 3D 프린팅 연구단은 금속 소재를 레이저로 녹여 3차원으로 쌓는 동시에
표면
을 다듬는 방식으로 3D 프린팅 관련 장비에서 공정과 재료까지 모든 요소 기술을 한번에 개발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 3D 프린팅을 의료 기술에 적용한 연구는 활발했지만 제조업 분야에서는 발전이 ... ...
자연계 최고로 단단한 소라껍데기의 비결은
2016.02.18
통해 소라껍데기에 균열을 일으켰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표면
에서 균열이 가했을 때 쌍정의 경계면이 균열의 진행을 저지하거나 경로를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에서 가해진 힘을 균열을 저지하는 데 소비하기 때문에 소라껍데기는 좀체 파괴되지 않는 ... ...
슈퍼지구 대기 성분 최초로 직접 스캔
2016.02.17
게자리 55 e는 18시간이면 중심별 주위를 한 바퀴 돌 정도로 중심별 가까이에서 공전하고,
표면
온도는 2000도가 넘는다. - 유럽우주국(ESA) 제공 분석 결과 게자리 55 e의 대기 중에는 수소와 헬륨 기체가 많이 분포해 있었지만 수증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소는 인체에 유해한 시안화수소(HCN ... ...
그래핀 위에 인간 줄기세포 배양 첫 성공
2016.02.16
수 있게 그래핀
표면
에 나노 크기의 볼록한 무늬를 만들고, 세포가 잘 성장하도록 그래핀
표면
에 물을 잘 함유하는 화학기도 붙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그래핀 위에 iPS세포를 배양했더니 줄기세포 고유의 전분화능과 자가증식 능력이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과 ... ...
굿바이, 필레~ 인류 첫 혜성 탐사선 영구 동면 들어가
2016.02.16
80%에 이르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필레는 처음 작동을 시작한 64시간 동안 혜성
표면
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토양의 화학 성분과 반감기, 온도 등을 측정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마크 매코그린 영국 엑서터대 교수는 “필레가 수집한 데이터 분석에만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며 ... ...
겨우 40대인데 왜 눈이 침침하지?… “네, 노안 맞습니다”
동아일보
l
2016.02.15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게 최선이겠죠. 노안이 심해지면 눈에 렌즈를 이식하면서 각막
표면
을 조작해 초점의 범위를 넓혀 주는 ‘노안 라식’ 수술을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대요. 하지만 안 좋은 습관을 유지하면 수술 3∼5년 후에 노안 증세가 다시 나타날 수도 있다네요. 미리미리 눈 건강을 챙기는 ... ...
‘박막(thin film)’은 왜 중요할까
2016.02.14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이하다. 물질이 박막 상태가 되면 일반적으로
표면
장력이 작아지고 점성이 커지는 등 화학적 성질이 크게 변한다. 이런 특성 덕분에 박막은 화학 실험부터 전자회로, 자성체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다. 박막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