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20건 검색되었습니다.
긁히거나 늘어난 그래핀, 은(銀)으로 복원한다
2016.01.20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사진) 팀은 금속을 전기로 도금하는 방식을 응용해 그래핀
표면
의 결함을 치유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그래핀은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두께가 얇고 투명해 투명전극이나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차세대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물질이다. 하지만 ... ...
연필심보다 작고 쌀 한 톨보다 가벼운 센서, 뇌에 삽입
2016.01.19
없었다. 쥐의 뇌에 센서를 삽입한 모식도.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는 전선을 통해 뇌
표면
에 있는 무선전송기로 전달된다. -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해 연필심보다 크기가 작고 쌀 한 톨보다 가벼운 센서를 개발했다. 센서에는 머리카락의 10분의 1 정도 두께인 가느다란 ... ...
스파이더맨 발 크기 계산해보니 5.016m?
2016.01.19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개구리에 한해서는 몸집이 커짐에 따라 발바닥의
표면
적이 늘어나는 대신 발바닥의 접착력이 늘어나는 경향이 발견되기도 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벽을 타고 이동하는 동물종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별 탄생 비밀 풀어낼 ‘우주 적외선 관측자료’ 나왔다
2016.01.18
또 큰 구조를 가진 편광 패턴의 크기는 330광년이나 됐으며, 자기장 세기는 지구
표면
자기장의 수 만분의 1 수준으로 미약한 걸로 밝혀졌다. 정 그룹장은 “이번 관측자료는 대마젤란은하 별 탄생 영역을 관측해 2000여 개 별들의 근적외선 편광 목록을 작성한 것”이라며 “기존의 가시광, ... ...
[표지로 읽는 과학-네이처] 섬유탈취제 성분으로 수질오염 간단히 해결
2016.01.17
않아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하다. 디흐텔 교수는 “이전에 개발된 어떤 고분자보다
표면
적이 큰 물질을 개발한 것”이라며 “정수처리 비용과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개발도상국에선 수질오염으로 고통 받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토요판 커버스토리]1경4000조원 시장 新에너지 혁명 ‘쨍’
동아일보
l
2016.01.16
1년간 사용하는 에너지를 단 1시간 만에 생산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계산. 지구 전체
표면
의 0.1%만 태양전지로 덮어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필요한 모든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는 분석도 나와 있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2012년 ‘토파즈’라는 이름의 ... ...
장인정신으로 과학 완성하는 천생 ‘공학자’
2016.01.14
경험으로 가족과 함께 한 달 가량 떠났던 유럽 배낭여행을 꼽았다. - 김종국 재료연
표면
공정연구실장 제공 후배들의 연구 환경과 복지를 위해 좋은 선례를 만드는 것도 ‘50둥이’ 연구자의 역할로 꼽았다. 그는 2007년 연말에 당시 연구소에선 전무후무했던 28일 장기 휴가를 떠나기도 했다. 주변에선 ... ...
유방암 세포만 골라 ‘찰싹’ 달라붙는 항암제 전달 물질 개발
2016.01.12
않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약물전달체는 유전자 변형을 통해 효모 액포
표면
에 유방암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만들어 유방암 조직과 딱 붙을 수 있게 했다. 효모 액포를 구성하는 지질 성분은 사람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과 비슷하기 때문에 액포가 유방암 세포에 붙으면 액포와 암 ... ...
렉서스, 럭셔리 쿠페 LC500 북미서 최초 공개
동아닷컴
l
2016.01.12
타이어를 강조하는 입체적인 모습으로 쿠페의 민첩함을 표현했다. 또한 각 부위의
표면
은 선명한 곡면과 날렵한 라인으로 구성돼 럭셔리 쿠페의 우아함을 강조했다. 전면부는 프런트 하단에서 보닛 후드로 이어지는 흐름을 강조하고, 차체와 일체화시켜 역동성을 높인 스핀들 그릴을 중앙으로, ... ...
나노 크기로 ‘상상의 꽃’ 우담바라 만들었다
2016.01.11
빛을 이용한 ‘광식각’ 기술이 주로 쓰인다. 액정
표면
에 감광물질을 바르고 빛을 쪼여
표면
을 가공하는 기술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지만 2차원 공정에 특화돼 있고 비싼 공정설비, 복잡한 과정 등을 갖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3차원 구조를 만들려면 2차원 구조를 계속 쌓아야 하기 때문에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