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라디오 방송 ‘사이언스 프라이데이’에 보냈어요. 그랬더니 존 녹스 미국 조지아대학교 교수가 연락해왔죠. 그렇게 공동연구를 시작하고 논문도 낼 수 있었어요. 그렇다고 제가 수론에만 관심이 있는 건 아니에요. 음악 구성 요소는 모두 수학에 뿌리를 두고 있어서 작곡할 때도 수학을 써요. ... ...
- 우승국은 독일일까 프랑스일까? 2018 러시아 월드컵 전격 예측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어느 나라가 우승의 기쁨을 맛 보게 될까요? 2018년 4월 24일 데이빗 섬터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독일 대표팀과 브라질 대표팀의 우승 확률이 25%로 가장 높다고 미국 방송국인 CBS 스포츠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섬터 교수는 2016년 유럽 축구 경기를 기하학과 통계로 분석한 ... ...
-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삐릭, 삐릭’안녕, 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빛낸 군집드론 ‘슈팅스타’야. 지금 뭐하는 거냐고? 나와 친구들이 힘을 합쳐서 아주 멋진 작품을 만들고 있지! 우리가 이렇게 여럿이 일을 하는 비결이 뭐냐 하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 ...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손에 실종자의 운명이 걸려 있어! 지도 만드는 바퀴벌레 로봇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에드가르 로바튼 박사가 지난 2013년에 개발한 ‘바퀴벌레 로봇’은 건물 붕괴 현장과 같은 곳에서 지도를 만들 수 있는 군집로봇이에요. 보통의 지도는 GPS를 이용해 만들 수 있지만, 지하나 건물이 ... ...
- 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통해 뱀 전문가 데이비드 스틴 박사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어요. 미국 알라바마 오번대학교 자연사박물관에서 연구교수로 일하는 스틴 박사가 종종 소셜 미디어에서 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보았거든요. 그러자 다음날, 스틴 박사는 다니엘라의 질문에 “(한숨) 네. 뀌죠.”라고 대답해 주었답니다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여실히 보여준다. 중국과학원 산하 중국과학원대학(UCAS), 중국과학기술원(USRC) 등의 대학은 현재까지 8만6000명의 석사학위 졸업자와 6만5000명의 박사학위 인력을 배출했다. 중국과 학원에 소속된 총 116개 연구소 인력은 무려 6만7900명에 이르며, 이중 연구 인력만 5만6000명이다. 국내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 왜 간은 췌장보다 클까? 우리 몸 안의 장기(臟器·organ)를 잠깐 떠올려 볼까요? 심장, 간, 위, 신장… 어쩜 모두가 제각각 다른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이 ...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결국 서울대 우주항공공학전공에 지원할 만한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조 씨는 “대학에 입학한 뒤 원했던 로켓 동아리에 들어와 즐겁게 활동하고 있다”며 “무엇이든 부딪혀 보면서 진로를 찾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나로호’ 보며 꿈 정해_17학번 이창훈울산 학성고를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것이다. 대학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소위 교과형 논술이라고 불리는 최근의 대학별 논술고사는 평상시 수능 학습과 병행해 대비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연세대 논술도 마찬가지다. 실제 합격자 점수는 2016학년도 평균 60점대에서 2017학년도에는 평균 70점대로 상승했다. 또한 실제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를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