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맛이 결정된다고 했다. 윌리엄 리 영국 허더즈필드대학교 수학과 교수는아일랜드 리머릭대학교 수학과에 있을 당시 이에 관한 연구를 했다. 커피는 그라인더로 커피 원두를 가루로 분쇄한 뒤, 커피 가루를 액체만 거르는 커피 베드에 넣고, 이 베드에 물을 부어서 내린다. 리 교수는 커피 베드에 ...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라디오 방송 ‘사이언스 프라이데이’에 보냈어요. 그랬더니 존 녹스 미국 조지아대학교 교수가 연락해왔죠. 그렇게 공동연구를 시작하고 논문도 낼 수 있었어요. 그렇다고 제가 수론에만 관심이 있는 건 아니에요. 음악 구성 요소는 모두 수학에 뿌리를 두고 있어서 작곡할 때도 수학을 써요. ... ...
- 우승국은 독일일까 프랑스일까? 2018 러시아 월드컵 전격 예측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어느 나라가 우승의 기쁨을 맛 보게 될까요? 2018년 4월 24일 데이빗 섬터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독일 대표팀과 브라질 대표팀의 우승 확률이 25%로 가장 높다고 미국 방송국인 CBS 스포츠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섬터 교수는 2016년 유럽 축구 경기를 기하학과 통계로 분석한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학과 교수는 포스텍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짜잔~. 이게 너희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봤던 수호랑이야. 나 혼자라면 수호랑을 만들지 못 했겠지만 친구들과 함께라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 자, 이번엔 하트를 만들어 볼까? 모여야 빛이 나는 군집드론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현장. 캄캄해진 밤하늘에 불빛이 반짝이기 시작했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으랏챠차! 안녕, 나는 키바라고 해. 나와 수천 대의 내 친구들은 무려 100kg도 넘는 크고 무거운 선반을 이고 물류 창고를 돌아다니지. 하지만 우린 절대 부딪치지 않아.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 이게 원하시는 선반인가요?현재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군집로봇은 ‘키바(KIVA)’예요. 키바는 ... ...
- 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통해 뱀 전문가 데이비드 스틴 박사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어요. 미국 알라바마 오번대학교 자연사박물관에서 연구교수로 일하는 스틴 박사가 종종 소셜 미디어에서 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보았거든요. 그러자 다음날, 스틴 박사는 다니엘라의 질문에 “(한숨) 네. 뀌죠.”라고 대답해 주었답니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용한 우주과학 교육 활성화도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와 운용비로 대학에서도 교육과 연구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문, 기상, 극지 연구 분야와 협력해서 임무를 개발하고, 공동운용 기술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 국내 가용 연구 자원을 고려해 연구 방향의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위해 수시로 외부 전문가들을 초청해 특강도 열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 서울대 대학원에 ‘우주시스템 협동과정’이 정식으로 개설돼 학생들의 진로 선택 폭이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우주시스템 협동과정은 우주항공을 비롯해 기계공학, 에너지, 재료 등 8개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형 ... ...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두 불합격할 경우 본인의 내신경쟁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아마도 만족할 수 없는 대학에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 내신뿐 아니라 다른 전형요소도 마찬가지다. 논술 경쟁력이든, 비교과 경쟁력이든 그 활용 여부는 수능 경쟁력이 결정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이 아무리 대세라고 해도, 본인의 수능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