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케임브리지대학, 킹스칼리지 런던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고등과학원 수학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에 응용되는 산술기하 연구를 포함하여, 정수론에 응용되는 다양한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맞닥뜨려보면 알겠지만, 생각보다 골치 아픈 문제입니다. 그런데 정체를 알 수 없는 서울대학교 학생이 이 문제를 명쾌하게 풀어 놓은 게 아니겠어요?! 바로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하는 겁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1과 1로 시작하고,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열입니다. 피보나치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과정의 교육을 마친 2년차 학생을 대상으로 ‘사사과정’을 운영한다. 석사, 박사 과정 대학원생이 지도교수에게 지도받으며 논문을 쓰는 것처럼, 이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도 담당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논문을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슈퍼 틱택토에서 항상 이길 수 있는 전략은 아직 모릅니다. 2013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생이었던 에이탄 리프쉬츠와 데이비드 츄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슈퍼 틱택토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하는 사람이 이길 확률이 56%라는 사실을 밝혔어요. 먼저 하는 ... ...
- Intro. 시험장에서 쫓겨난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당장 나가랍니다. 저희가 이 세계에 있던 세월이 얼마인데, 이렇게 내칠 수 있는 건가요?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우리가 밀려나는 신세가 될 거라곤 상상도 못했습니다. 우리는 기하입니다. 우리 기하 외에도 시험지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실생활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수학을 만나보시죠. ▼관련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아테네 근처에 ‘아카데미아’ 학당을 만들었습니다. 아카데미아 학당은 오늘날의 대학교와 비슷한 기관으로, 플라톤은 여기서 그리스 청년에게 산술, 기하학, 천문학 그리고 철학을 가르쳤지요. 이때 플라톤이 학당 입구에 써 놓았다던 글귀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이 문으로 ... ...
- [인터뷰] GIST 대학장 고도경_ “서류전형 70% 반영, 고교 생활 성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한 문제해결능력(Problem Solving)을 겸비한 인재를 선발하고 길러내는 게 GIST의 목표다. 고 대학장은 “과학기술인으로 성장해 국가와 인류에 기여하고자 하는 꿈을 가진 학생의 많은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업을 들으면서 기업가의 꿈도 키워가고 있다. 그는 “고등학교 때 막연히 생각하는 대학 전공과 실제 그 전공의 성격이 다를 수 있다”며 “이미 진학한 선배들에게 많이 물어보는 것도 진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내신 열세, 면접 및 구술고사에서 극복_17학번 이중혁서울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비교적 최근까지도 철학자들은 마음의 위치에 대해서 논의 했어요. 2000년, 미국 브라운대학교 철학과 김재권 명예교수는 마음에 위치가 없다면 다른 사람과 내 마음을 구별할 방법이 없다며 마음도 위치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답니다. 과연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요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애초에 이걸 목적으로 삼고 연구를 시작했던 것 같지는 않다. 호킹이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입학할 때 지도교수로 당시 유명했던 우주론 학자 프레드 호일을 원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례다. 프레드 호일은 ‘정상 우주론’을 주장한 학자고, 알다시피 현재 대부분의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