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커 신 되는 수학전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공통카드 5개 중 3개를 골라 핸드를 완성하는 게임이다. 공통카드는 처음 3장이 깔린 뒤, 1장씩 두 번 깔리기 때문에 베팅할 기회는 총 4번이다. 게임이 시작되면 선수들은 머릿속으로 최적의 조합을 계산한다. 자신의 개인카드와 공통카드를 이용해 가장 좋은 조합 5장을 만드는 것이다. 수많은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인두법’이 유럽에 건너왔습니다. 감염자의 농포★를 건강한 사람에게 옮겨 감염시킨 뒤 면역력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문제는 부작용이 컸다는 거예요. 인두 접종을 받은 사람 100명 중 99명은 다시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았지만 1명은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이 때문에 인두 접종을 도입할지, 말지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씨는 자율주행차에 탄 귀갓길에 잠깐 잠을 청했다. 집에 들어가자마자 시은이와 놀아준 뒤 TV를 켰다. 흘러나오는 뉴스에 권 씨는 내일도 편집장에게 혼날 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됐던 9세 어린이가 로봇 다리를 이용한 재활훈련을 통해 스스로 걸을 수 있게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JAXA)는 2013년 동결 건조한 쥐의 정자를 우주로 보냈고 9개월 뒤 지구로 회수했다. 그 뒤 지상의 난자와 인공수정을 통해 새끼 쥐 73마리를 출생시켰다. 출산율은 지구에서의 인공수정과 비슷한 수준이다. 정밀 분석 결과 우주 방사선으로 인해 정자의 DNA는 손상을 입었지만 9개월간의 표류가 생식력에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계를 넣을 수 있는지 여부”라며 “지금 진행하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6~7년 뒤에는 우리나라도 이동식 광격자 시계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AIST는 1971년 과학기술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하는 인재도 일반 대학과는 다르다. 신하용 ... 기본기를 다진다는 생각으로 인문학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기초 실력을 기른 뒤 여러 사람과 대화하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독일어권에서 3번째로 생긴 대학천문대예요. 가우스는 가난했지만, 천문대장이 된 뒤로 돈 걱정 없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다고 해요. 이곳은 전신을 품은 레이저가 출발하는 장소 이기도 합니다. 오래된 관측소지만, 최근까지도 쓰였다고 해요. 가우스가 천문학을 연구하면서 남긴 업적은 ...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소리의 제작 비법을 밝히지 않아 미스터리는 계속 됐습니다. 노래가 발표되고 40년 뒤인 2009년에 비틀즈의 열렬한 팬이자 수학자인 브라운 교수는 수학으로 화음의 비밀을 해독해 냅니다. 곡의 비밀을 푸는 데 브라운 교수가 사용한 수학은 ‘이산 푸리에 변환’입니다. 푸리에 변환은 수학에서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계인 사이보그가 등장해요. 주인공은 사고로 잃은 신체의 일부를 기계로 대체한 뒤, 로봇 팔을 이용해 충격파를 쏘거나 공간 이동을 할 수 있지요. 기계를 장착한 덕분에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갖게 된 셈이에요. ‘사이보그’는 ‘인공두뇌학’을 뜻하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팀은 전신마비 환자인 코플랜드의 뇌에서 운동영역과 촉각영역에 전극을 심은 뒤, 이 전극을 로봇팔에 연결했지요. 그 결과 코플랜드는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일 수 있었어요. 이뿐만 아니라 로봇팔의 손끝에 있는 압력 센서에 뭔가 닿으면 뇌 촉각 영역에 전기 신호가 전달돼 촉각을 느낄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