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역광일 때 라이다의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레이저의 파장은 905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로, 햇빛에서 동일한 파장을 갖는 빛의 에너지는 10μW(마이크로와트·1μW는 100만 분의 1W) 정도다. 연구팀은 빛이 정면으로 들어올 때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 레이저의 에너지가 10μW 이상이 ... ...
- 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로서하르더’는 2015년부터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국 베이징, 폴란드 크라쿠프 지역에 약 7미터 높이의 대형 공기청정기 ‘스모그 프리 타워’를 설치했어요. 스모그 프리 타워는 2층 건물 정도의 높이로, 한시간당 3만㎥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답니다. 이는 가로, 세로, 높이가 31m인 방을 가득 채울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나옵니다. ♬쿵쿵 쿠구쿵쿵 공룡이 나타났다!나는야 폭군 티라노사우루스몸길이 15미터, 키는 5미터, 몸무게 7톤 (우와!)날카로운 이빨 (30센티나 된대!)강력한 턱으로 냠냠 냠냠 먹이를 뜯어먹지♬ 거대한 공룡 티라노사우루스가 눈앞으로 다가옵니다. 마치 제가 잡아먹히는 것만 같아요. 무슨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붉은 빛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새우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비리 교수는 “작은 ... ...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검출 기구는 2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굵기의 은 나노선 구조체가 포함된 종이 시트로, 여기에는 농약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질 전환된 M13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가 들어 있다. 이 기구에 시료를 묻혀 라만분광분석으로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민스럽습니다. 미백 화장품은 멜라닌을 파괴하지 못한다피부는 50~100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표피와, 바로 아래 2~3mm 두께를 가진 진피로 나뉩니다. 표피는 표면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는데, 기저층에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인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운동이 일어납니다. 박테리아의 편모는 머리카락 지름의 500분의 1에 해당하는 12~19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로 매우 작지만 마치 모터처럼 작동합니다. 편모의 회전운동으로 박테리아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죠. 인간은 이보다 더 작은 분자의 영역에서 기계적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 ...
- Part 1. 예보, 못 믿겠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넘어 여과지까지 날아가 모인다. 전문가들은 수차례 실험을 통해 지름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인 입자(PM10)와, 지름 2.5μm 이하의 입자(PM2.5)만 수거할 수 있는 필터를 만들었다. 필터를 열고 충돌판을 꺼내보니 가운데 조그만 구멍에 시커먼 먼지들이 쌓여 있다. 미처 통과하지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선 두 사람의 지문이 겹치지 않은 부분에서 지름 6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미세한 점 60개를 찍어서 분광 스펙트럼을 얻고, 그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시켜 지문의 주인을 식별할 수 있게 했다. 그런 뒤 겹친 부분을 똑같은 방식으로 촬영해 분광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전류가 흐르면 ‘1’, 흐르지 않으면 ‘0’으로 정보를 입력했다. 연구진은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아주 얇은 탐침을 가진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을 이용해 원자의 위치를 조정했다. 가령 ‘01010100’이 T를 의미한다면, 염소 원자를 ‘있고, 없고, 있고, 없고, 있고, 없고, 있고, 있고’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