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우주쓰레기가 떠다니고 있어요.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입자들까지…. 현재 셀 수 있는 쓰레기만 2만여 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답니다. 특히 큐브샛은 지난 2003년 처음 발사된 이후, 더 자주 더 많이 발사되고 있어요. 최영준 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개발돼 있어요. 하지만 20cm 정도로 무척 크지요. 만약 앞으로 세포와 비슷한 수십 나노미터 크기로 줄일 수 있다면, 냉동 인간을 실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요. 뇌를 다른 사람의 몸에 이식하다!뇌는 미래에 다시 깨어났을 때 ‘나’를 인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장기예요. ... ...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두 개의 얼굴을 가진 수호신 ‘야누스’와 같아서 야누스로 불리게 되었어요.●nm : 나노미터, 10억분의 1m.마그네슘이 물과 반응하면 수소 방울이 만들어지는데, 야누스는 이 힘을 이용해 앞으로 이동해요. 반대쪽에서는 은 나노입자가 세균의 세포벽과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켜 세포 안으로 침투해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마다 ‘마스크’를 씌운 뒤 이 부분의 수치를 잰다. 픽셀 하나는 한 변이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정사각형이다. 명암 변화가 없는 곳을 0으로 놓으면 어두워지는 부위는 양수(+)로, 밝아지는 부위는 음수(-)로 나타낼 수 있다. 명암의 변화가 클수록 숫자는 커진다. 윤 책임연구원은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생각했다. 이후 그로텐디크는 프랑스 중부 생테티엔 남쪽에 있는 해발 900미터의 삼림지대인 르샹봉쉬르리뇽으로 피신했다. 현지 학교인 콜레주 세베놀에 다니며 프랑스 대학 입학 자격시험인 바칼로레아에 합격했다. 그로텐디크는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진부한 문제에 불만이 많았다. 특히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합성섬유 조각과 타이어 마모 입자 등 일상 생활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빗물에 씻겨 호수나 강 등 담수 생태계로 이동한다. 해양 생태계에 미세 ...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파랑비늘돔의 이빨이 강력한 이유가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법랑질 섬유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방사광가속기 ‘ALS(Advanced Light Source)’를 이용해 이빨의 구조를 X선으로 분석했다. 치아의 기저부에는 지름이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원자들이 강력한 공유결합을 통해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연결돼 있다. 두께는 0.3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 m) 정도. 2차원 평면 구조다. 그래핀을 규칙적으로 쌓아올려 3차원 구조로 만들면 연필심에도 사용하는 흑연(graphite)이 된다. 놀라운 점은 그래핀의 강도가,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물질로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이런 변화는 1983년 빛의 속도 값을 고정해 미터의 정의를 바꾼 이후 가장 큰 변화다. 물론 실제로 연구 현장에서 실험을 하는 과학자들조차 거의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느껴서도 안 된다. 이미 나온 연구 결과나 진행 중인 연구에 혼란을 줄 수 있기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체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화학기상증착법(CVD)으로 만든다. 문제는 두께가 20~4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밖에 되지 않는 구리나노선이 섭씨 400~500도면 녹아버린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구리 나노선에 그래핀 박막을 코팅하는 방식을 새로 개발했다. 구리나노선을 넣은 진공 장치에 전기장을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