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내복 디자이너 ‘ 이브니 포그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굳게 닫힌 패션쇼장의 문을 자세히 살펴보던 썰렁홈즈. 문에 달린 모니터를 발견하고 들여다보던 바로 그때! 웬 눈동자가 나타나는 게 아닌가! 이어서 ‘이브니 포그내’가 모니터에 나타나 말했다.“오우~, 제 패션쇼에 함께 하려면 약간의 테스트를 거쳐야 해용. 그만큼 제 내복은 소중하니까용~. ...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는 크롬 이온과 유기산 화합물로 구성된 물질로 0.5∼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수없이 뚫려있다. 이 소재에 들어 있는 크롬 이온은 질소와 붙을 수 있는 전자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면 공기나 셰일가스, 천연가스, 바이오가스 등에서 질소를 없애는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방식은 일반 반도체 소자와 같다. 차이가 있다면 반도체는 기판 표면에 1~2㎛(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두께로 물질을 쌓거나 깎는 반면, MEMS는 기판 위에 10~50㎛ 두께로 3차원 구조물을 쌓는다는 점이다. 건물의 층수는 1~2층으로 비슷한데, 지을 때 한 층의 높이를 높게 짓는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도핑한 산화아연 박막에 정보를 저장하는 차세대 메모리인 저항메모리(RRAM)를 5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로 제작했다. 이 메모리 위에 업컨버팅 나노입자와, 자외선을 받으면 산성물질을 내는 ‘광산발산제’를 넣은 고분자 필름을 코팅했다.이 저장장치에 빛을 쪼이면 업컨버팅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빌려주었다가 다 뽑힐뻔했어요!) 솔잎 음료수로 달리는 자동차를 시연한다든가(1미터도 채 움직이지 못했죠!) 『수강신청을 돕는 해킹』이라는 소책자를 인쇄한다든가(폐부 위기였고요!)…… 그런 활동들을 했습니다. ‘넥스트 유즈리스 싱(Next Useless Thing)’이나 ‘넥스트 스투피드 싱(Next Stupid Thing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는 이미 도래해 있다.이미 스마트폰이나 스마트미터, 스마트카, 스마트홈, 스마트빌딩, 스마트팩토리 등 여러 기기나 환경에 ‘스마트’를 붙인다. 기기와 인터넷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술 덕분 이다.홈 IoT 기기와 서비스도 늘고 있다. 디지털 도어록이나 창문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칼비나노과학연구소 레오 쿠벤호벤 교수팀(오른쪽 사진)은 나노미터 수준으로 얇은 금속선을 만든 뒤 그걸 금과 초전도체 전극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나노선의 양쪽 끝에 두 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이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해 점점 밀도를 높여 왔지만, 물리적인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다. 회로의 선폭을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좁힌 상황이라 더 줄이기 어려울 뿐더러, 발열 때문에 회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향후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빅데이터를 처리하려면 회로 집적도가 더 높아져야 하기 때문에, 2진법 ... ...
- [과학뉴스] 1952년 런던의 ‘살인 안개’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스모그의 차이도 알아냈다. 중국의 스모그 입자는 런던의 살인 안개보다 훨씬 작은 나노미터 크기이고, 런던의 안개가 강한 산성을 띠는 것과 달리 중성에 가까웠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6년 11월 9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측정 결과 바닷새의 배설물이 있으면 북극 대기에 크기가 10nm(나노미터, 100만 분의 1mm) 이상인 입자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 입자들은 80nm 이상으로 커져 구름방울이 됐다. 그리고 북극 전체의 구름방울 농도가 10% 증가했다. 이는 실제 북극대기를 측정한 결과와도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