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카블리나노과학연구소 교수팀은 금과 초전도체 전극에 나노미터 수준의 얇은 금속선을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인공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구현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입자와 반입자 상태를 동시에 가지는 것은 확인했으나, 위치를 교환할 때 함수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지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해질은 부피가 최대 600%까지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고분자전해질 표면에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작은 패턴을 새기면 표면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물체를 단단히 잡는 효과도 낼 수 있다. 이는 문어 빨판과 유사한 원리다. 물체에 대고 눌렀다가 떼면 빨판과 물체 사이 공간이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요한 요소로, 생체 분자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구조부터 밝혀야 한다. 특히 0.4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원자 수준의 해상도로 구조를 파악하면 생체 분자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과 유전자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lectron Microscopy)이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은 뚫려 있지 않다. 대신 눈에 보이지 않는, 지름이 수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인 미세한 구멍이 있어서 물은 막고 공기는 통과시키는 기능성 필름이다. 폴리에틸렌 필름 외에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추가로 쓰는 제품도 있다. 고성혁 연세대 패키징학과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크기로 작아지면 위험성은 더 커질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어요. 나노 플라스틱은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플라스틱을 말해요. 이렇게 작은 플라스틱은 세포의 막을 통과할 수도 있지요. 만약 독성을 가진 나노 플라스틱이 세포막을 통과해 몸이나 뇌 속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간다면, 건강에 ... ...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꼬아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을 만들었다. 이 실은 지름이 60~7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보다 얇다. 스프링 구조를 갖고 있어 30%가량 수축·이완된다. 연구팀은 이 실을 전해질 속에서 잡아당기면 꼬임이 증가하면서 부피가 감소하고, 그 결과 전기용량이 감소해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는 수십 억 개의 파편으로 이뤄졌다는 점도 알려졌다. 파편의 지름은 수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에서 수 미터(m)로 다양했고, 밀도가 높은 고리에서는 파편들이 위성의 영향을 받아 물결처럼 일렁이는 ‘파도’가 관측됐다. 2009.07 엔셀라두스 바다에서 암모니아를 찾다NASA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맥락막)이 있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있다. 고도 근시가 계속 진행되면 10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벽지는 점점 얇아진다. 이것이 찢어지면 시력 상실의 주원인인 망막 박리가 생긴다. 안구가 점점 커지면 혈관층도 얇아진다. 망막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고, 새로운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벽에 내피세포가 촘촘하게 붙어 혈관벽을 만든다(뇌혈관장벽). 그래서 크기가 0.1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정도로 매우 작은 물 분자조차 통과하기가 어렵다. 고 단장은 “대뇌에서 모세혈관벽을 이루는 내피세포 사이의 간격은 영양분은커녕 물 분자도 지나가기 어려울 만큼 좁다”며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인공 장기를 만드는 일만큼이나 어렵답니다. 세포를 이용해서 굵기가 채 10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미터)가 안 되는 미세한 관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죠.최근 미국 우스터폴리테크닉대학교 글렌 고데트 교수가 독특한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어요. 시금치 잎을 이용해 혈관을 만들어낸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