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trium
나트륨램프
램프
람푸
람프
뉴스
"
나트륨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도 땅속 짠물, 애물인줄 알았더니 보물
동아일보
l
2013.07.30
원료로 쓰일 수 있고 친환경 농작물 재배에도 유리하다. 용암해수를 정제하고 남은
나트륨
은 천연소금으로 상품화할 수 있다. 용암해수산업단지에 입주를 신청한 기업들도 이 같은 전망을 보고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음료 식품 소금 화장품 등을 제조하는 5개 회사가 용지를 분양받아 내년 ... ...
한 밤 중 갑자기 ‘짜파구리’가 땡기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 한밤중이 아니라 낮에 라면을 먹었다면 계속해서 물을 마시고 소변을 통해서
나트륨
을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몸속의 염분과 수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한밤중에 라면을 먹게 되면 잠을 자는 동안 신장의 활동이 둔해지기 때문에, 세포조직과 혈장에 남아도는 염분과 수분이 몸 ... ...
습한 장마철 해결사 '제습기' 올해 유독 불티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방식으로, 주로 쓰이는 흡습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다. 실리카겔은 황산과 규산
나트륨
의 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그물조직의 규산입자다. 입자의 표면적이 넓어 수분이 잘 흡수되기 때문에 흡습제로 자주 쓰이는데, 김 안에 들어있는 ‘눅눅함 방지용’ 알갱이가 바로 실리카겔이다. 또 ... ...
고혈압 환자도 맘껏 먹을 있는 맛있는 저염 김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적게 쓰면서도 김치를 알맞게 숙성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핵심”이라며 “전세계적으로 저
나트륨
식단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만큼 국내외 시장에서 맛있는 저염김치에 대한 관심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가뭄 때문에 농사 어렵다? 인공강우로 제2의 농업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많이 쓰이는 추세다. 반면 열대지방에 주로 발달하는 0℃ 이상의 낮은 구름에선 염화
나트륨
이나 염화칼륨과 같은 흡습성 물질을 사용한다. 이들 물질 주변에 구름입자가 달라붙어 빗방울 무게가 무거워지게 만드는 것이다. 물론 구름씨만 뿌린다고 모든 구름에서 비나 눈이 내리는 건 ... ...
[제주]제주 땅밑에 황금알 낳는 용암해수 샘 솟는다
동아일보
l
2013.05.23
화장품 원료로도 쓸 수 있고 친환경 재배에도 유리하다. 용암해수를 정제하고 남은
나트륨
은 천연소금으로 상품화도 가능하다. 용암해수산업단지에 입주를 신청한 기업들도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음료, 식품, 소금, 화장품 등을 제조하는 5개 회사가 용지를 분양받았고 먹는 물인 제주삼다수를 ... ...
맛 때문에
나트륨
많은 라면 허용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12
동아일보DB 제공 라면 속
나트륨
때문에 시끌시끌하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어린이 기호식품의 품질인증기준을 일부 개정한다고 발표하면 ... 해조류 등으로 짠 맛을 내고
나트륨
함량은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개발 중이기는 하지만
나트륨
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고 말했다 ... ...
어린이 컵라면
나트륨
함량 기준 ‘역주행’
동아일보
l
2013.05.10
한국인, 국그릇 크기만 줄여도… ▶ [채널A 영상]한 달 한 번은 ‘국 없는날’…
나트륨
섭취 줄여요 [화제의 뉴스] - 朴대통령, 訪美패션에 숨겨진 ‘색깔 정치’ - 2년 전 ‘그날’ 반칙車에 옷 낀채 끌려가… - 장성택 교통사고 당했던 지점서 김정은도? - 테니스 코트 예약자 이름 ‘***’…못밝힐 ... ...
짠맛 2.5배 높이는 천연물질 발견
동아일보
l
2013.04.26
낼 수 있다”며 “앞으로 이 물질을 조미료처럼 대량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하면 인류의
나트륨
섭취를 획기적으로 줄여 건강 유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유성열 기자 ryu@donga.com [화제의 뉴스] - 설경구 “결혼 파탄 송윤아 때문 아냐” - 휴지통 직행 이력서는? 이런 실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대상으로 신경의 흥분과 전도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즉 세포밖에 고농도로 있는
나트륨
이온이 세포안으로 밀려오면서 활동전위가 바뀌어 신경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 연구로 두 사람은 존 에클스와 함께 노벨상을 받았다. 그 뒤 헉슬리는 근육 수축으로 관심을 돌려 미오신 ... ...
이전
31
32
33
34
3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