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9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0.22
에너지자원공학은 어떤 학문이고, 3 가지 주요 연구분야는 무엇인지 미니강연을 들어본
뒤
, 이 전공이 다루는 대체에너지의 종류, 졸업생의 10% 이상이 왜 금융권에 진출하는지, 지열에너지 분야의 EGS 기술 등 전공적성부터 미래전망까지 학생들의 다양한 질문을 들어본다. ◆ MC: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개량하기도 한다”며 “자연종이든 유전자변형종이든 대량 배양하고 수확한
뒤
기름을 추출해 바이오디젤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연구단은 3단계로 사업을 진행하는데, 1단계(2010~2011년)에서 바이오매스인 미세조류를 확보하고 2단계(2012~2014년)에서 이를 검증하고 3단계(2015~2018년)에서 미세조류 ... ...
[Green Economy_지역 최고의 녹색기술]국내 첫 녹색시범도시 강릉을 체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여기서 생산된 에너지는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통해 낮에 저장해 뒀다가 일몰
뒤
체험연수센터의 야간전력으로 활용한다. 현재 100kWh급 ESS가 설치돼 있으며, 연간 약 87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릉 녹색도시 체험센터에 설치된 PV 패널은 하루 평균 492kWh(일 - 강릉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이때 개입하는 인슐린의 역할에 대해 연구를 계속했다. 1957년 아내 거티가 세상을 떠난
뒤
남편 칼은 여생동안 무척 힘들어했다고 한다. 칼 코리는 1984년 사망했다. 194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수상한 코리 부부. 1896년 생 동갑으로 모국인 체코에서부터 함께 연구를 해 미국에 건너와 꽃을 ... ...
운명이 나를 IBS로 이끌었다
IBS
l
2014.10.13
이러한 일은 어느 한 사람의 노력으로 이뤄질 수 없다는 것도 그의 생각이다. "영웅
뒤
에는 수많은 영웅이 있습니다. 즉 한 사람만 특출 나서는 제대로 목표가 완성되지 않죠. 저도 제 자리에서 IBS가 최고의 성과를 이뤄낼 수 있도록 잘 지원하려 합니다." 홀로 시작하는 대전 생활 이들 신입 ... ...
[채널A]입 벌리고 자는 습관…불면증 부른다
채널A
l
2014.10.08
저항증후군, 즉 입을 벌리고 자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똑바로 누워 입을 벌리면 혀가
뒤
로 말리면서 호흡량이 최대 30% 가량 감소하고,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기 위해 호흡이 빨라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불면증 환자의 36%는 구강호흡이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불리는 사과(말루스 푸밀라로 보임)가 17세기 후반 한반도에 소개되면서 숙종이 북악산
뒤
자하문 밖 일대에 심게 했고 다른 곳에서도 재배되기 시작했다. 구한말 자하문 밖 과수원에 봄이 오면 빈과나무 20만 그루에서 핀 사과꽃으로 장관을 이뤘다고 한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서양선교사들이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
KISTI
l
2014.09.30
위해 막대기를 사용한다. 까마귀는 문제없이 시험관에 갈고리를 넣어 양동이를 꺼낸
뒤
먹이를 먹었다. 놀라운 일은 다음에 벌어졌다. 똑같은 상황에서 펴진 철사를 주고 까마귀의 반응을 본 것이다.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는 부리로 철사를 구부려 갈고리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양동이의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물리학 부문)을 받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애니메이션에서는 바나나 껍질을 밟아
뒤
로 넘어지는 장면을 과장해서 표현하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흔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데 필자는 수년 전 길을 가다 정말로 바나나 껍질을 밟은 적이 있다. 아마 딴 생각을 하고 걷다가 못 본 것 같은데 바나나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갖고 있지만 사체가 된
뒤
에는 대기와 더 이상 탄소교류를 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14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탄소14의 비율을 측정하면 그 사체가 죽은 시점을 추측할 수 있다. 미국 시카고대의 화학자 윌러드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