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면역질환 환자,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검토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정기적으로 세 번째 접종을 두 차례 실시했다. 장기 이식을 받은 사람은 3차 접종 후 4주
뒤
항체 수준이 40%에서 68%로 높아졌다는 프랑스 연구팀의 최근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조치다. 도리 세게브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에서 658명의 장기 이식 수혜자 중 화이자나 모더나의 ... ...
델타 변이 확산 중인데 마스크 의무화 해제?…영국 과학자들 “변이 공장 짓는 것”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공개했따. 중앙방역대책본부 조사에 따르면 사적 모임 제한 인원을 6인으로 확대한
뒤
단계적으로 8인까지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국민들은 58.2%가 동의했다. 인원 제한의 단계적인 완화를 위한 이행단계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80.8%에 달했다. 이같은 인식은 수개월째 300명대~600명대를 오르내리는 ... ...
코로나19 신규확진 711명 사흘째 700명대…지난 1월3일 1020명 이후 일요일 확진 최다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미국이 3371만6933명으로 가장 많다. 인도가 3054만5433명, 브라질이 1876만9808명으로 그
뒤
를 이었다. 이날 기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에 희생된 사람은 모두 397만5915명이다 ... ...
형형색색 화려하지만 치명적인 미세플라스틱...한반도 연근해 서서히 잠식 중
2021.07.05
않을 만큼 작은 크기"라며 "바닷물을 여과지에 거르고 광학현미경으로 입자를 찾은
뒤
적외선 분광기로 분석해야 미세플라스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세플라스틱이 전세계 해양은 물론 극지방까지 퍼졌다는 우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플라스틱 사용량이 ... ...
코로나19 확산세 놔두면 2주 후에도 하루 800명대...젊은층 확산·변이 못막으면 1500명까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현재와 같은 확산 상황이 그대로 이어진다면 2주
뒤
에도 하루 800명대의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 결과가 나왔다. 백신 접종을 하지 못한 20~30대를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과 전파력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델타 변이가 확산세를 가속한다면 하루 확진자가 150 ... ...
한국계 미 연구진, '비용·시간 절감' 코로나 변이 분석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7.04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교수팀은 전장 유전자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증폭한
뒤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했다. 이 교수는 "인건비까지 합쳐 유전자 한 샘플당 분석에 대략 50만원이 들지만, 새로운 분석법을 활용하면 10분의 1 수준으로 비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논문에서 이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아침에 연구실에 출근해 컴퓨터로 구조를 설계한
뒤
3D 프린터로 그날 저녁 격자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구조는 모듈형이어서 쌓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과 비전도성이 반복되는 등 복잡한 구조의 생체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수 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하천 주변에서 이들 식생의 발아가 가능한 지역을 찾은
뒤
이 지역이 물에 잠긴 기간을 확인했다. 그 결과 섬강 문막교 지점은 2012년 이후 봄에서 늦여름 사이(4월~9월) 한 번도 물에 잠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전체가 잠기는 시간이 줄었다는 것은 씨앗과 1~2년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07.03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번에 두 연구팀은 배반포 유사체가 형성되고 4일
뒤
관찰을 종료했다. 수정된 후 약 10~11일이 지난 시점에서 연구를 중단한 것이다. 배반포 유사체는 법률상 인간 배아가 아닌 만큼 14일론을 준수할 의무가 없지만, 윤리적 논란을 의식해 선제적으로 중단했다. ... ...
코로나19 시대 아이 건강에 필요한 세 가지 원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03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 팬데믹(범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한
뒤
소아와 청소년들의 건강 문제를 챙겨야 한다고 수 차례 경고를 내놨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실제로 비만이거나 과체중인 어린이 청소년이 증가했다는 통계들이 발표됐다. 국내에서도 지난 1월 20일 비슷한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