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르름
선인
마법사
녹색
선령
d라이브러리
"
신선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하기 귀찮다면 다크 초콜릿 먹어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운동이 몸에 좋다는 건 알지만 날마다 30분 이상 뛰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운동 대신에 다크 초콜릿을 먹어도 효과가 같다면 어떨까?미국 웨인주립대 약학과의 모 말렉 교수팀은 다크 초콜릿을 먹으면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유산소 운동을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줄기세포는 뇌, 혈관, 근육 등 우리 몸에 있는 모든 세포로 변할 수 있어 이미 망가진 조직을 대체할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세포는 이런 분화능력이 없다.최근 이 두 세포의 운명을 갈라놓는 원리가 발견됐다. 캐나다 토론토대 분자유전학과의 벤자민 블렌코 교수팀은 FOXP1 유전자가 두 종류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10월이면 볼 수 있는 철새의 이동. 그 일사불란한 움직임은 경이롭기만 하다. 일정한 대형을 유지한 채 하늘길에 맞춰 좁아졌다 넓어졌다, 장애물이 나타나면 잠시 갈라졌다가 다시 모이기도 하고, 갑자기 속도를 늦추더라도 흐트러지는 법이 없다.“철새는 이동할 때 자기들끼리 일정한 간격을 유 ... ...
꼬꼬면에 숨어 있는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국야쿠르트에서 ‘꼬꼬면’을 출시했다. 개그맨 이경규가 한 예능프로에서 선보인 라면이다. 폭발적인 인기 뒤에는 어떤 맛의 비밀이 숨어 있는지 알아보자.“아저씨, 꼬꼬면 있어요?”“다 나갔어요. 다음 주 월요일에 들어옵니다.”또 허탕이다. 매번 품절이라 구할 수가 없어 ‘품절라면’이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공기가 통과한다. 홈의 두께와 개수에 따라 공기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어 농산물을
신선
하게 오래 저장할 수 있다.[➊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펨토초레이저. 수백 nm에서 수 μm 크기의 매우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다. ➋ 노영철 연구실장(왼쪽)과 연구원이 레이저 가공 과정을 살피고 있다.]제품 ... ...
세계적인 깡통 예술가, '캐니 조아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아페르가 뭔가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었다.“나폴레옹 황제가 공고를 냈어요. 오랫동안
신선
하게 음식을 보관할 방법을 찾아내면 엄청난 상금을 준다고요. 흠~. 병에 음식을 넣고 가열한 다음, 코르크로 막으면….”통조림 발명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병에 삶은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이 변하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여준 연구가 발표됐다. 김근수 세종대 물리학과 교수와 김필립 컬럼비아대 응용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에 다른 물질이 들어갈 때 표면 특성이 어떻게 바뀌는지 시각적으로 보이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은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나노 ... ...
나노물질로 유도만능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최근 조쌍구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와 김순학 차의과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나노물질을 이용해 더욱 안전하게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유도만능줄기세포는 체세포에 조작된 유전자를 넣어 마치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상태로 되돌린 세포를 말한다. 환자 자신의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왜 같은 양을 먹어도 더 살찌는 사람이 있을까. 미국 남캐롤라이나대 심리학과 로베르토 리피네티 교수팀은 낮은 체온이 비만의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리피네티 교수팀은 개 287마리의 직장(直腸) 온도를 측정했다. 개들은 다양한 종에 몸집 크기도 다양했다. 측정값을 비교한 결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연구한 뒤, A4 2장 정도의 보고서를 쓴다. 문학과 과학을 비교하는 연구는 학생들에게
신선
한 경험이었다. 학교나 학원 어디서도 둘을 비교한 적은 없었기 때문이다. 딱히 정해진 보고서 형식도 없어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어려워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과정에서 창의성이 발휘된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