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음식
식품
먹거리
영양물
먹이
음식물
뉴스
"
식량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이 생존하기 가장 어려웠던 해는 536년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40년과 547년에도 화산 폭발이 추가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로 인한 기후변화로
식량
생산량이 크게 줄었고, 그 여파가 640년까지 이어져 대기근과 병이 끊이질 않았다“고 설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기록에 따르면 541년부터 542년까지 동로마 제국 치하에 있던 이집트 내 펠리시움에서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이처럼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옥수수와 밀 등 주요
식량
을 생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미국립과학원회보는 논문 70여 편을 분석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21세기 말 전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이 18.2%나 줄어든다고 추정했습니다.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18.11.17
유전자를 분석해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유엔
식량
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97억 명으로 늘어난다. 이들이 부담 없이 빵을 먹기 위해서는 밀 생산량을 지금보다 60% 더 끌어올려야 한다.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밀,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는 ... ...
한국서 만든 달복제토로 30% 축소판 달기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그는 이어 “달에 있는 토양으로 인간이 살 수 있는 기지를 건설할 뿐 아니라 에너지와
식량
등도 직접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 연구진은 10여 년 전부터 기지 건설에 관한 ISRU 분야에 뛰어들었다. 지난 2009년 지질 분석을 통해 경주-포항 지역의 흙을 체로 걸러 실제 달토양과 입자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연구관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한국의 기술을 투입하면 북한의
식량
생산성을 30% 끌어올리는 게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며 기술 중심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허 연구관은 “하지만 남한이 일방적으로 베푸는 협력은 지양해야 한다”며 “한국에 들어와 있는 ... ...
김유항 교수 AASSA 회장 재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2012년 출범했다. 김 회장은 국제한림원연합회(IAP for Science)에서 추진한 ‘
식량
·영양안보와 농업’ 프로젝트의 아시아지역 보고서 발간을 총괄하며 역량을 인정받았다. 김 회장은 지난 2016년 터키 앙카라에서 열린 AASSA 총회에서 회장에 처음 선출됐다. AASA는 지난 10월 31일 태국 방콕 ... ...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오존층에 해를 가할 수 있으며 생태계를 교란시켜
식량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태양 지구공학을 이용하다 갑자기 중단하면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질 수 있고 국제적 분쟁도 잇따를 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측했다. ◇ 통제되지 않는 인공지능 ... ...
[과학게시판] 상표디자인 선진5개국 회의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 특허청은 11월 1일부터 6일까지 서울 임페리얼팰리스 호텔에서 TM5 및 ID5 연례회의를 개최한다. TM5 및 ID5 연례회의는 전 세계 상표·디자인 출원의 70% 이상 ... 정책이 발표됐고, 2부에서는 유전자변형작물(GMO)과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등을 통한
식량
안보 확보 방안과 사례 등이 발표됐다 ... ...
떠다니는 연구소 ‘이사부호’ 태평양 심해생명체 신비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적도에서 올라오고 있는 태풍을 멀리 둘러 괌으로 향했다. 괌에서 배에 연료와
식량
을 보급하고 기존 연구진은 모두 하선한다. 다시 새로운 연구진이 탑승해 새로운 항해를 시작한다. 새 연구진은 서울대와 일본 도쿄대 공동 연구진. 이들은 인도네시아 인근 섬나라 ‘팔라우’ 인근 공해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쓰이고 있지만 한계도 있다. 즉 원료작물을 재배해야 하므로 땅과 물이 필요한데, 지금도
식량
문제나 환경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바이오연료를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다음으로 합성석유가 있다. 석유는 천연물이라 이런 이름을 붙인 건데, 화학적으로 만든 액체연료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