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범인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05
5분 먼저 출발했고, 제가 출발한 시각은 11시 50분이었습니다.졸리 : 네, 맞아요. 피트가 제
뒤
를 따라와 저를 불렀고 바로 그 때 공원 옆 교회에서 12시를 알리는 종소리가 들렸지요.다잡아 : 그럼 두 분은 그랜트 씨가 살해당하던 순간 공원을 함께 지나고 있었다는 말씀이군요. 마지막으로 크루즈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05
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에 똑같이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약 100년 동안 위상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였다. 마침내 2006년 그리고 리 페렐만의 증명이 공식적으로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
수학동아
l
201005
박은주 대표. 대표님은 대학 졸업을 앞두고 문화와 관련된 여러 분야를 적어 본
뒤
, 그 중에서 가장 하고 싶은 출판 분야의 일을 하기로 결심하셨대요. 그런데 책을 만드는 대표님에게 가장 의미 있는 책은 무엇일까요?“위인들의 책을 읽으며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어렸을 때는 슈바이처, 그리고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05
”“아니면 눈물을 글썽이지 않는단다. 노래 제목은 ‘대구의 눈’이라고 불리지.”얼마
뒤
앨리스가 만난 사람은 말은 탄 기사입니다. 기사는 앨리스의 표정이 슬퍼 보인다며 노래를 불러 준다고 합니다. 기사는 노래에 대해 설명하며 “노래를 들은 사람들은 다들 눈물을 글썽이거나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05
일차방정식을 다루었지만, 산학처럼 간편하게 계산하게 된 것은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
였습니다. 여러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한 ‘행렬’은 영국의 수학자 실베스터가 1848년에야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지요. 이처럼 수를 사각형으로 나열하는 방법은 수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몇 번을 재생해도 음질에 변화가 없다. 결국 바늘 접촉식 레코드판은 역사의
뒤
안길로 사라졌다. 오늘날 같은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도 전화와 안테나 대신 광섬유를 통한 근적외선 레이저 통신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요즘은 어떨까. 레이저를 제품에 응용하려는 개발자들의 손은 2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05
표시된 안내판을 보고 화려한 자태를 기대했다면, 실망이 클 수 있다. 안내판
뒤
로 보이는 해안가엔 버섯 모양을 한 검은 돌 무리만 가득하다. 수심이 낮은 해안가에 몰려 있어 멀리서 보면 만을 건너기 위한 징검다리처럼 보인다. 이 바위들이 지구상에 출현한 최초의 단세포 생명체인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05
바 있다.하지만 당시 나로호는 발사 216초(3분 36초)만에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
부터 비정상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작동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나로호 발사가 실패할 경우 3번째 발사가 추진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05
구더기 녹여 파리 만드는 검정파리 번데기 작고 기다란 붉은 ‘알’이 꿈틀거리다가 한쪽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알’을 깨고 천천히 기어 나오는 것은 검정파리 ... 단단해진다는 뜻이다. 새끼 전갈들은 최대 7번까지 탈피를 하며, 단단한 외골격이 생긴
뒤
에야 어미의 몸에서 독립한다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이 연구는 무매개체형 미생물연료전지를 구현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기록됐다.그
뒤
에도 김 박사팀은 두 가지 방향에서 미생물연료전지 연구를 주도했다. 첫째로는 폐수를 처리하는 데 미생물연료전지를 쓸 수 있는지 조사했다. 보통 폐수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기물이 들어 있는데, 폐수의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