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책"(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대해진 자아는 자신을 위험에 빠뜨린다2019.08.10
- 낮은 사람들은 분노의 종착지가 타인에 대한 공격이기보다 내가 그렇지 뭐 류의 자책과 자기비난이다. 관련해서 권력이 없는 사람이 쉽게 분노할 것 같지만 연구에 따르면 의외로 권력감이 클수록 조금이라도 손해보는 것 같으면 참지 못하고 분노하는 경향을 보인다(Ding et al., 2017). 권력감이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적힌 문장들을 처음 보고 이해가 안 된다고 해서 “난 정말 언어능력이 없나봐.”라고 자책하는 사람은 없다. 그건 원래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그 문장을 이해하려면 적잖은 노력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문법과 단어를 알아야 한다. 우리는 외국어를 배울 때 이런 고통이 있고 그 고통을 극복하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해자에 동조하는 사람들 2019.03.30
- 폭력을 행사하게끔 돕는 발판이 된다. 또한 피해자로 하여금 폭력이 자신의 잘못인 양 자책하게 만들어 본인이 일방적인 폭력의 피해자임을 인지하지 못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가해자의 피해자 비난하기는 폭력을 지속시키고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속박하는 작용을 한다(Dutton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프로선수들이 긴장과 불안을 다스리는 법2019.03.02
- 시합을 앞두고 좀 더 열심히 준비했어야 했다던가 ‘너가 하는 일이 항상 그렇지 뭐’ 등 자책이 심한 편이었다. 또한 상상 가능한 최악의 상황을 떠올리며 가뜩이나 심한 불안을 더 심화시키는 편이었다. 예컨데 똑같이 패배하는 상황을 떠올리더라도 패배는 패배일뿐 다음에 잘 하면 된다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2019.01.19
- 어쩌면 부모가 자녀로 하여금 스스로에게 독하고 가혹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심하게 자책하는 모습을 보여야만 제대로 하고 있다는 피드백을 주기 때문에 그것만이 올바른 삶의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내가 나를 대하는 태도가 중요한 이유는 내가 바로 나의 ... ...
- 강속구로 승부하라! 메이저리그 선발투수 100명 투구 빅데이터 분석 2018.08.24
- 개인 타이틀을 싹쓸이 했다. 특히 한국에서 7년째 뛰고 있는 LG 트윈스의 헨리 소사는 평균자책점이 2.58에 불과한데, 빅데이터를 살펴보면 대표적인 강속구를 던지고 불확실성이 낮은 투수에 해당한다. 작년 다승왕을 차지한 KIA타이거즈의 양현종 역시 불확실성이 낮은 직구 중심의 투수다. 거의 20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게으른 천재라는 착각2018.05.27
- 달려나가는 것 같은데, 자신은 별로 하는 일도 없이 시간만 보내는 것 같아 한심하다는 자책이죠. 그러나 건강한 게으름과 병적인 게으름은 분명 다릅니다. 만약 세상 혹은 자신에 대한 혐오에 빠져, 골방에서 컴퓨터 게임이나 하며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면 건강한 삶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자칫하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따라서 본인이나 특히 자녀가 암에 걸렸을 경우 ‘내가 잘못 산 결과’라고 너무 자책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격렬한 반발이 이어졌고(불운의 결과는 고작 10% 내외라며), 암에 따라서 환경요인이 90%에 이르는 경우도 있고 암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습관이 정말 중요한데 불운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가짜 통제감을 주고 ‘내가 잘못해서 그래. 사실은 나를 아껴주는 사람이야’ 같은 자책 및 환상을 동시에 갖게 만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 번 폭력이 발생하면, 일단 선을 한 번 넘은 것이기 때문에 그 다음은 훨씬 쉽게 폭력을 행사하게 될 뿐, ‘다시는 안 그러겠지. 내가 잘 하면 ... ...
- 미투(#MeToo) 운동, 어떤 변화 가져올까?2018.02.22
- 문제를 외부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자신의 책임으로 탓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한 자책감이 우울한 감정을 부추겨 등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혈압 상승, 불면, 자살 충동 등 극단적인 악영향이 나타나게 됩니다. pixabay 미투 운동이 희망적인 이유 그렇다면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