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스페셜
"
분자
"(으)로 총 1,0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 이상이 공기로 이뤄진 다공성 물질로 보통 실리카 같은 무기재료로 만든다. 그런데 생체
분자
인 젤라틴과 DNA로 어떻게 에어로졸을 만들 수 있을까. 최근 중국 쓰촨대 연구진이 젤라틴 단백질(protein)과 DNA로 만든 에어로젤은 자가치유력이 있고 재활용이 되고 폐기하면 빠르게 생분해되는 친환경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화하는 알파폴드…단백질-생체
분자
상호작용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등 다른
분자
와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도 예측할 수 있다. 단백질을 넘어 광범위한 생체
분자
유형에 대해 결합 구조를 알아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알파폴드3이 "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기여도가 높은 변이 시그너처 3개 가운데 SBS22a와 SBS22b는 아리스톨로크산이라는
분자
가 원인이다. 두 시그니처는 루마니아와 세르비아에서 유난히 높고 다른 나라에서는 기여도가 미미하다. 이는 유럽 발칸반도의 밀밭에 자생하는 잡초인 아리스톨로키아의 씨앗이 밀알에 섞여 들어간 결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중개의학'에 공개했다. 전사체는 유전체에서 유전자 발현을 위해 전사된 모든 RNA
분자
를 뜻한다. 그 결과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전사체 기능 장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양극성 장애, 조현병,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성별 차이를 이해하면 더 나은 치료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포유류를 제외한 척추동물이 지닌 바소프레신 계열
분자
인 바소토신(vasotocin)이 척추동물 노나펩타이드의 기원으로 밝혀졌다. 초기 척추동물에서 유전자 중복으로 바소토신 유전자가 두 개가 된 뒤 여분의 유전자가 변이를 일으켜 새로운 기능을 지닌 옥시토신 ... ...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치료법 개발 길을 확대할 수 있다. 그런데 단백질은 혼자 기능하지 않는다. 다른 생체
분자
와 결합해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에 단백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단백질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로제타폴드 최신 버전인 ‘로제타폴드 올 아톰’은 단백질뿐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샤프론은 다른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RMC-7977라는
분자
딱풀(molecular glue)로 CYPA와 라스가 가까워지면서 신호를 전달할 단백질이 라스에 접근하지 못해 사실상 꺼진 상태가 된다. 연구자들은 변이 라스 단백질이 있는 암 환자에서 얻은 암세포 100여 가지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생물학적 기능과 작용과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분자
적 수준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 생리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노아 팜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하게 규명한 지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있는 오크라톡신A(위)도 만들 수 있다. 오크라톡신A
분자
의 일부(오른쪽)와 시트리닌
분자
의 구조가 꽤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번 홍국 건강보조식품 사건은 홍국균이 만든 시트리닌과 오염된 푸른곰팡이가 만든 오크라톡신의 시너지 작용으로 신장독성이 커진 게 원인일지도 모른다. 독성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에 만들어진 당
분자
는 주로 녹말로 전환돼 저장되고 장일 조건의 오후에 만들어진 당
분자
는 그대로 남아 세포 내 농도가 올라가며 MIPS1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가 오거나 흐린 날이 많으면 식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 그렇다면 빛의 세기가 식물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도 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