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자"(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IBS l2014.08.06
- 유전체 교정에 성공했다. RNA 유전자가위를 구성하는 Cas9 단백질을 정제해 작은 RNA 분자인 '가이드 RNA'와 결합시킨 후 전기 자극을 가해 세포 내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유전체 교정을 효과적으로 해 낸 것이다. 이 내용은 올해 '게놈 리서치(Genome Research)' 6월호의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그는 "우리 ... ...
- 뇌의 두 가지 지도, 정원과 도시IBS l2014.08.05
- 입장이다. 예컨대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환자를 보면 (임상적으로는) 전혀 다른데, 분자나 세포 수준에서 보면 비슷해진다. 세포 수준에서는 (연구가 쌓여) 이해도가 높아졌지만, 아직은 임상과의 연결 고리가 느슨한 것이다. 그래도 뇌지도 연구자들은 꿈을 버리지 않는다. 만약 정원 지도와 ...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IBS l2014.07.09
- 붙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합니다." 자연의 돌연변이에 인류가 대처하는 싸움! IBS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이 획기적인 연구성과로 힘을 보탤 날이 머지않아 보인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 7월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IBS l2014.07.07
- 복제될 때 '프라이머'라는 짧은 RNA 가닥이 시작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프라이머는 RNA 분자이므로 복제 종료 후 DNA로부터 분리되어 나온다. 따라서 프라이머가 떨어져 나간 부분은 복원되지 않아 복제된 DNA의 길이는 원본에 비해 짧아진다. 텔로미어는 일정한 염기 서열이 여러 번 반복되는 ... ...
- 아토초 레이저로 원자ㆍ분자의 초고속 현상 밝힌다IBS l2014.06.12
- 레이저 분야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노벨상을 받았는데, 1999년에는 초고속 레이저로 분자와 원자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펨토화학'을 개척한 아흐메드 즈웨일 박사가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머지않아 아토 과학 분야에서도 노벨상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IBS l2014.06.10
- 찍어서 이전에는 모르던 분자의 성질을 확인할 수도 있다. 산업 현장에도 매우 중요하다. 분자들의 실제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으면 화학제품 생산공정을 지금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특정 화학반응이 중요한 질병에 대한 치료약도 쉽게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150여 년 전의 사진 작품 ... ...
- [만화] 안전교육, 주방에도 필요하다!KISTI l2014.06.09
- ” “그것도 정~말 조심해야 해.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극초단파) 즉 아주 짧은 분자들을 일 초에 수백만 번 부딪히게 해서 그 마찰열로 조리를 하는 건데, 이 극초단파는 금속을 통과할 수 없어. 그래서 자칫 금속 용기에 음식을 담아 조리하게 되면 전자기파 간섭이 일어나서 스파크가 ...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KOITA l2014.05.27
- 단순한 분자식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퍼킨은 알려져 있던 알릴톨루이딘과 키니네의 분자식의 차이에서 톨루이딘에 몇 개의 탄소원자와 수소원자를 덧붙이고, 그후에 산소원자 몇 개를 더해서 원소의 모양과 수를 키니네와 같게 하면 키니네를 합성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퍼킨은 처음에는 ... ...
- 대장균에서 휘발유를 뽑아낸다!KAIST l2014.05.16
- 했다. MBEL은 어떤 연구실인가? KAIST 생명화학공학과의 MBEL은 미생물의 대사공학과 분자생명공학원천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 현재는 석·박사과정 학생들뿐 아니라 연구교수, 포스트닥, 연구원 등 40여 명이 활발하게 연구하는 곳이다. 연구실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대사공학이란 세포, ... ...
- 복잡한 세상을 풀어주는 수학, 매듭론IBS l2014.05.14
- 예측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분야가 바로 분자생물학이다. 분자생물학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 중 하나가 DNA다. 유전정보를 담은 DNA는 평소에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빽빽하게 꼬인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다 유전정보를 복제하거나 단백질을 만들어내야 할 때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