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5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 위협 '흰코 증후군'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EGFR)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냈다. EGFR은 동물의
표면
이나 장기의
표면
을 덮고 있는 세포의 성장 호르몬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흰코 증후군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EGFR을 차단하는 약물인 게페티닙 등을 사용하면 질병의 진행을 멈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말리는데 여기에는 기동세포 생김새의 차이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세포 한쪽
표면
에는 물고기 비늘처럼 생긴 구조가 있는데 평균 개수는 작물 벼가 더 많지만 일정하지는 않다. 기동세포의 비늘 개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 기동세포에서 비늘이 9개 이상인 비율이 ... ...
[과기원NOW] KAIST, 세포막 간 상호작용 매개하는 '지질 뗏목'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제작하고 발광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이 제작한 메타
표면
은 기존에 비해 양자점에서 방출된 특정 방향의 빛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2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난달 18일 '제1회 GIST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자기장 시작점 기존 이론 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5
태양 다이너모가 태양의 가장 바깥층에서 진행된다는 점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태양
표면
조건이 MRI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며 MRI에 의해 형성된 난류가 태양 다이너모를 증폭시켜 태양 자기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태양 흑점 주기와 그로 인해 형성되는 태양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가 적은 사람과 친해지려는 이유
2024.04.20
생각해보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쏟을 수 있는 시간이나 정성의 양은 제한적이어서
표면
적인 친구 관계 말고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깊은 관계의 수는 대체로 비슷할지도 모르겠다. 친구 수가 적다고 의기소침해 하지 말자. 그런 당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른다. Si, ... ...
[과기원NOW] 포스텍, 전고체 전지 성능·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보호층을 만들었다. 이 층은 리튬을 전달하는 특성이 우수해 무분별한 전착을 막고 음극
표면
하단부터 리튬이 균일하게 전착되는 하면 전착을 유도했다. 리튬의 무분별한 전착을 막아 리튬의 고갈되는 속도를 늦춘 것이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한 분석에서도 리튬 이온이 안정적으로 전착 ·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행성 원반인 'd203-506'을 관측해 얻은 성과다. 연구팀은 d203-506에서 원시 행성 원반
표면
이 강한 자외선의 영향을 받는 영역인 광해리 영역(PDR)을 관측한 뒤 분석했다. 이를 통해 d203-506이 원자외선의 영향으로 아주 빠르게 질량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계산 결과 d203-506에서 질량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연구자들은 탄소나노튜브를 일렬로 배열한 시트 형태로 양극 골격을 만들어 그
표면
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게 하자 과산화칼슘이 만들어졌다. 분석 결과 탄소나노튜브의 전자전달 메커니즘이 산화칼슘보다 과산화칼슘이 되는 쪽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전해질에는 칼슘이온을 ... ...
[과기원NOW] KAIST, 암과 루게릭병 등 난치성 질환 새로운 발병 메커니즘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나타내도록 했다. 입사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됐다. 실험 결과 연구팀의 메타
표면
은 좌원편광에 대해 '+35도'와 '-35도'에서 서로 다른 입체 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최근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이재성·장지욱·석상일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장관상과 부상으로 상금 500만 원을 받았다. 투명망토 물질로도 유명한 메타
표면
은 빛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인공 물질로 기존 렌즈 두께를 1만분의 1로 줄일 수 있어 가상 · 증강현실 기기나 라이다(LiDAR)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력이 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