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UNIST, 해수전지 성능 대폭 향상시키는 '슈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해수전지에서 집전체로 쓰이는 티타늄
표면
에 티타늄카바이드라는 검정 슈트를 입혀 전지 성능을 높였다. 티타늄카바이드를 코팅한 티타늄은 해수 환경에서 화학적, 전기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을 보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집전체를 해수전지에 이용하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점과 가까운 곳에서 나온 하마 뼈에는 석기에 훼손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또 돌
표면
에는 찧는 과정에서 묻은 것으로 보이는 식물의 잔해가 발견됐다. 저자들은 논문에서 “이번 발굴로 거대동물을 도살하거나 식물을 가공한 최초의 흔적이 적어도 60만 년 더 거슬러 올라갔다”며 “이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박테리오파지를 형성하여 숙주인 세균 밖으로 나올 수 있음을 알아냈다. 박테리오파지
표면
에 있는 단백질은 세균내로 침입하지 않았지만 DNA만 세균으로 침입하면 완전한 박테리오파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DNA가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임이 확실했다. 이것으로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은 단백질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때문으로 생각된다. 참고로 헬리코박터균이 강산성인 위액에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표면
이 정상적인 점액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위액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궤양은 위암과도 상관이 있으므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헬리코박터균을 직접 암을 유발하는 제1의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무, 행성의 베일을 벗길 열쇠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조사한 결과 일부 연무가 빛을 반사해 행성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연무는
표면
에 자외선을 최대 97%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 특정 연무는 살아있는 유기체가 생성하는 메탄이 많을 때만 생성됐다. 연구팀은 "연무는 그 자체로 생명일 수 있다"고 했다. 피터 가오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뒤 배양액에 넣어주는 단계가 있어야 하므로 비용이 늘어난다. 연구자들은 환원전극
표면
을 음이온교환막으로 감싸는 등 몇 가지 조치로 배양액 조성으로도 환원 반응이 제대로 일어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전극에서 만들어진 C2가 용액의 흐름을 따라 순환하면서 미생물이 있는 배양기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전기장을 풀면 막 밖의 이온이 농도차에 따라 막 내부로 흘러 들어가면서 용매 결정
표면
에 침투해 어느점 내림 현상을 일으켜 결정을 녹이고 이 과정에서 주변 열을 흡수한다. 기존 냉각 시스템의 증발기에서 저압 액체인 냉매가 기화하며 열을 뺏는 것에 해당한다. 이온칼로릭 냉각 시스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면역세포가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한다. 그 결과 암세포
표면
에 있는 PD-L1 단백질이 T세포
표면
의 PD1을 인식해 달라붙어 작용을 방해하는 전략이 쉽게 먹혀든다. 연구자들은 ECN 게놈에서 유전자 두 개를 바꿔 암모니아에서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쉽게 많이 만들 수 있게 만들었다. 투여한 변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늘며 각종 미생물에 감염될 가능성이 커진 결과다. APOE 단백질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표면
지방 분자를 인식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인원 APOE4에서 변이로 나온 인간형 APOE4가 전반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실제 오늘날에도 각종 감염에 취약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현재까지 최소 3 곱하기 10의 21승개의 트랜지스터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반도체
표면
에서 전자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에서 시작된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응용과학의 씨앗이 됐다. 전극 장치가 신호를 증폭하고 진공관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면서다. 이후 개발된 집적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