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제설이 편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제설제가 만능인 것은 절대 아니다. 도로
표면
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제설제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처음부터 눈이 녹지 않으면 제설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도로에 살포한 염화칼슘이 녹지 않고 남아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있었다. 그람음성균은 세포막에서 만들어진 LPS를 단백질 사다리를 통해 외막으로 운반해
표면
에 배치한다. 비유하자면 세포막과 외막이 각각 1층 침대와 2층 침대이고 둘 사이에 사다리가 놓인 셈이다. 조수라발핀은 LPS를 운반하려고 하는 단백질 사다리에 달라붙어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 결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사용한다. 불소는 우리 건강에 꼭 필요한 영양 성분은 아니다. 그러나 불소가 치아
표면
의 에나멜을 단단하게 만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순수한 상태의 이원자 분자인 불소(F2)는 연한 황록색의 기체로 인체에 강한 독성과 부식성을 가지고 있다. 다행히 맹독성의 불소는 자연 상태나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부하 조건에서 높은 접착력과 접착 가역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스탬프를 사용해
표면
이 거칠고 구 모양의 입체 구조를 가진 물질을 정확하게 전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테크놀로지스' 최근호 뒷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선정 및 발표한다. 노 교수의 기술은 나노미터 규모로 미세하게 패터닝된 메타
표면
과 빛을 이용해 거리를 인식하는 차세대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안 교수의 기술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2차원 소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얇고 균일한 원자층막 증착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코팅한 비료용 요소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자칫하면 코팅제에 포함된 황이 SCR의
표면
을 오염시켜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료용 요소라도 황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유기물 코팅제를 사용한 비료용 요소는 차량용 요소수를 만들어도 된다. 사실 2년 전의 요소수 대란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이후 라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각막 상피판을 제거하고 각막 실질은
표면
을 깎아내는 방법이다. 수술방법에도 점점 변화가 생겨 현재는 라섹과 PRK가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비슷해졌다. 시력교정을 위해 어떤 수술을 할 것인지는 안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을 하여 결정하는 것이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튕겨내며 다양한 산란을 유도해 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실험 결과 이 공정으로
표면
이 가공된 실리콘 나노와이어는 기존 벌크 실리콘 대비 열전도도가 약 30분의 1로 감소했다. 열전 성능은 약 300배 향상됐다.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적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다만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어 가장 심한 제품은 60%나 더 커졌다. 반면 반인공 피부
표면
에 보습제를 바르면 변형력이 작아졌다. 역시 제품에 따라 정도가 달랐고 가장 효과적인 제품은 감소 폭이 40%에 이르렀다. 어찌 보면 결과가 뻔한 실험을 굳이 여러 제품으로 반복한 이유는 반인공 피부의 ... ...
[과기원NOW] GIST, 바이러스성 질병 감염, 정확하게 진단하는 'AI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근적외선은 자발적으로 소재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되면서 국소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표면
선택적인 세포 사멸을 유도했다. 엑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6월 게재됐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