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이후 라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각막 상피판을 제거하고 각막 실질은
표면
을 깎아내는 방법이다. 수술방법에도 점점 변화가 생겨 현재는 라섹과 PRK가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비슷해졌다. 시력교정을 위해 어떤 수술을 할 것인지는 안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을 하여 결정하는 것이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튕겨내며 다양한 산란을 유도해 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실험 결과 이 공정으로
표면
이 가공된 실리콘 나노와이어는 기존 벌크 실리콘 대비 열전도도가 약 30분의 1로 감소했다. 열전 성능은 약 300배 향상됐다.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적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다만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어 가장 심한 제품은 60%나 더 커졌다. 반면 반인공 피부
표면
에 보습제를 바르면 변형력이 작아졌다. 역시 제품에 따라 정도가 달랐고 가장 효과적인 제품은 감소 폭이 40%에 이르렀다. 어찌 보면 결과가 뻔한 실험을 굳이 여러 제품으로 반복한 이유는 반인공 피부의 ... ...
[과기원NOW] GIST, 바이러스성 질병 감염, 정확하게 진단하는 'AI 플랫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근적외선은 자발적으로 소재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되면서 국소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표면
선택적인 세포 사멸을 유도했다. 엑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6월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기피 반응이 나타나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섭취한 오발부민이 장벽을 통과해 비만세포
표면
의, 오발부민을 인식하는 IgE에 붙으면 히스타민과 류코트리엔 같은 신호분자를 분비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류코트리엔이 혈액을 타고 뇌의 특정 영역에 작용해 오발부민 용액을 기피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이 가운데 하나의 산물인 단백질E가 용균 과정에 관여한다. ΦX174 입자는 대장균 세포
표면
을 인식해 달라붙은 뒤 내부로 게놈을 주입한다. 대장균의 전사 및 번역 시스템을 탈취해 증식한 파지는 단물이 다 빨린 박테리아를 터뜨리고 나와 사방으로 흩어진다. 이때 관여하는 게 단백질E로, 대장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방류가 국제적 관행을 충족시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리 과학계도 지구
표면
의 32%, 바다 면적의 46%를 차지하는 대양(大洋)인 태평양에 하루 120톤의 오염수를 처리·희석해서 방류한다고 해양 생태계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분석에 동의한다는 뜻이다. 후쿠시마 해변에 4인 가족 100가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촉진되지 않는다(3). PNAS 제공 실험 결과 위샘을 이루는 세포 가운데 하나인 벽세포
표면
의 쓴맛수용체에 카페인 분자가 달라붙으면 신호가 전달돼 위산이 분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쓴맛은 몸에 해로운 뭔가가 들어왔다는 정보이므로 이를 해독하기 위해 강산인 위산을 분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해야
2023.05.23
원칙적으로 확실하게 금지해야 한다.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소독은 ‘
표면
소독’으로 제한해야 한다는 뜻이다.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도 어쩔 수 없다. 소독 후에 반드시 환기를 시키는 일도 중요하다. 근원적으로 인체에 위험할 수밖에 없는 분무소독은 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열린 공간에서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귀금속 촉매 성능악화 현상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격자 장치를 활용해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빛이 금속
표면
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광 손실’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허미션’ 이론을 적용했다. 이 이론은 광 손실을 역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