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염 비켜! 로봇
물
고기 나가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물
고기 5마리를 풀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앞으로 저의 활약을 많이 기대해 주세요! 아,
물
론 저의 활약이 필요 없게 바다 오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더 좋겠어요 ... ...
조
물
조
물
~ 내 손으로 만드는 자연의 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온 세상이 알록달록하게 변신하는 봄이야~. 우리 주변에 있는
물
건도 노란 개나리, 분홍 진달래, 파란 하늘, 초록 새싹을 닮은 아름다운 색으로
물
들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 ... 천연염색에 꼭 한번 도전해 봐. 고운 빛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다 보면, 마음까지 곱게
물
들 거야 ... ...
버려진 TV서 인체조직 재생
물
질 ‘쪽쪽’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그 뒤 에탄올로 세척했다. 이 같은 공정을 거친 PVA는 인간 면역체계를 자극하지 않는
물
질로 재탄생했다.연구팀에 따르면 LCD 패널이 시장에 선보인 뒤 이미 25억 개가 버려졌다. 디스플레이시장에서 사용량이 확대되고 있는 LCD 패널은 폐기되는 양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과학기술계는 전망한다.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속 표면을 타고 흐르는 플라즈몬파는 금속에 이
물
질이 붙거나 금속 표면의 상태가 달라지는 변화가 생기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을 비추는 스포트라이트처럼 금속 표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연구단은 금속판에 특정한 모양으로 홈(슬릿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제 동
물
이 멋을 모른다는 말은 하지 말아 주세요. 사실 굳이 멋을 내지 않아도 동
물
의 건축은 자연 그대로 아름답답니다.이제 안심하고 이 비버 건축가에게 의뢰해 주세요. 자연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하고 아름다운 집을 지어 드릴 테니까요.얘기해 보세요. 손님이 꿈꾸는 집은 ... ...
춤추는 봄의 요정 나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세계적으로 2만 여종이 있어요. 하지만 급속한 환경 변화와 오염으로 희귀종은
물
론 예전엔 흔하게 볼 수 있던 나비들도 자취를 감추고 있답니다. 영국에서는 지난 40년 사이 최고 71%까지 나비의 수가 줄었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예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함평에서 나비 대축제를 열어 나비의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비를 내리면 수분량이 줄어 빗줄기가 약해진다. 또 다시 많은 비를 뿌리려면 남해상으로
물
러나 수증기를 머금은 뒤 북상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올해는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린 뒤 하루나 이틀 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많은 비를 폭탄처럼 ‘투하하는’ 일을 반복했다 ... ...
도마뱀의 모래 속 수영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모래 속을 헤엄치며 누비고 다녀 ‘모래
물
고기(sandfish)’로 불리는 도마뱀의 ‘수영’ 비밀이 풀렸다. 미국 조지아공대
물
리학부 대니얼 골드만 교 ... 것. 이번 연구결과는 모래나 진흙에사는 동
물
들이 이동하는 방식뿐 아니라 과립 자체의
물
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A형간염 바이러스는 세포에 감염돼도 세포질에 머
물
러 있지만 B형간염 바이러스는 유전
물
질이 들어 있는 핵 속까지 파고들어 간다. 이런 이유 때문에 B형간염 바이러스를 죽이는 게 A형간염 바이러스보다 더 어렵다.B형간염 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골치 아픈 문제가 하나 더 있다. 바로 D형간염이다.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눈을 돌리는 요즘 많은 젊은 과학도와 반대의 길을 걷고 있는 셈이다.“분자생
물
학이든 육종학이든 이제는 두 분야를 다 잘 이해해야 해요. 개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눈에 보이는 현상도 확인해야 하고,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현상도 들여다봐야죠. 육종도 이제 분자까지 다루는 방향으로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