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이러스가 다음 세대에 전달돼 또 병이 생긴다.지난해 국립식량과학원 두류유지작
물
과 문중경 박사팀은 이 병에 강한 새로운 품종 ‘신화콩’을 개발했다. 우리나라 재래종 콩에서 콩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강한 유전자(Rsv1)를 찾아내 소원콩에 삽입한 품종이다. 신화콩은 이 병에 대한 저항성을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당하고 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투발루의 산호섬 9개가
물
에 잠기고 있기 때문이다. 투발루에 살고 있는 주민 1만 명은 삶의 터전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일부는 이미 뉴질랜드로 이주했다.산업 개발과 무관하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곳은 사실 상황이 더욱 ... ...
오줌으로 가는 자동차 나올까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보테 교수는 “요소를 전기분해할 때 드는 전압은
물
을 전기분해할 때 드는 전압(1.23V)의 3분의 1수준인 0.37V”라며“이 방법을 이용하면 연료로 쓸 수소기체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물
분자를 구성하는 수소원자는 결합력이 강해 분리하기 쉽지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날씨 : 갬누워 있다가 깜빡 잠이 들었다. 어느새 비는 그쳤고 비를 뿌렸던 먹구름도 모두
물
러갔다. 이미 밖은 칠흙같이 어두워졌다. 갑자기 허기가 진다. 이때 어디선가 맛있는 냄새가 풍겨왔다. 아저씨가 가족들과 함께 가솔린 스토브로 야식을 만들고 있었다. “가솔린은 계절이나 날씨, 습도에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살아남는 미생
물
이 있어요. 연구자들은 이 미생
물
에서 신약 개발에 쓰일 특이한
물
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전 세계에서 이 연구에 많은 시선이 쏠리고 있어요.”한국은 열수분출구에 대한 탐사와 연구를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극지와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법 모기향, 살충 스프레이, 모기매트…. 모기에
물
리지 않으려는 인간의 노력은 눈
물
겹다. 최근 미국에서는 날갯짓 소리를 감지해 모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레이저 빔을 쏴 하룻밤 동안 모기를 10억 마리까지 죽일 수 있는 레이저 총을 개발 중이다. 사람이 모기를 멸종시킬 수 있을까. 모기는 약 1억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 지루한 사람과 어울리지 마라|제임스 왓슨 지음 | 김명남 옮김 | 이레 |486쪽 | 2만 5000원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혔던 영국 캐번디시연구소는 새 건
물
로 이사를 갔고 그 자리는 사 ... 얘기다. 환경오염과 식량위기,신산업 창출 같은 미래의 문제를 해결할 핵심
물
질이 바로
물
이기 때문이다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불행하게도 그 손길은 자연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짐을 나르고 있는 사진 속 동
물
은 야크다.문에 자연이 몸살을 앓고 있다는 사실쯤은 이제 어린아이도 다 안다. 지구온난화나 기후변화 같은 말도 너무나 익숙해졌다. 그러나 엄 대장은 “그저 사진이나 데이터로만 보는 것과 실제 경험하는 건 ... ...
여행지에서 먹는
물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모기다. 모스제로는 팔목이나 발목에 착용해 모기가 다가오지 못하게 막는다. 화학합성
물
질 대신 회향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이 들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 팔찌 외에도 스프레이 형태나 신발, 모자 등에 붙이는 패치 형태로도 나와 있다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변하고 있구나’라는 얘기가 나온 이유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
물
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