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3Q로봇블록과 함께 생체모방 배워요
과학동아
l
200911
음료수 캔과 연결한 다음 귀여운 눈과 손을 달면 완성된다. 타원형 바퀴 덕분에
뒤
뚱
뒤
뚱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걸어간다. 전선을 반대로 연결하면 엎드려 달리는 로봇으로 변신한다.올로버그로봇티즈 | 9만 9000원레고와 비슷하게 생긴 블록을 조립해 움직이는 벌레 로봇. 전자기판, 모터, 적외선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11
별도 중력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룬 논문을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그
뒤
별이 중력렌즈로 작용하는 경우를 ‘미시(micro)중력렌즈’라고 불렀죠.”한 교수는 미시중력렌즈 분야에서는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처음부터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11
머티리얼즈’ 6월 5일자 표지논문으로 소개됐다.자유롭게 휘는 메모리도 가능불과 3주
뒤
인 6월 26일자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에는 이 교수팀의 연구성과가 또 한 번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이번엔 유기 물질을 이용해 젤리처럼 휠 수 있게 메모리 소자를 만든 연구였다. 연구팀은 실리콘으로 만든 ... ...
누에와 함께한 특별한 추억
과학동아
l
200911
먹으며 연구실에서 쌓였던 스트레스라는 먼지를 자연 속에서 훌훌 털어내곤 했다. 식사
뒤
에는 연구실이 가진 문제점을 토론하고 개선점을 찾아는 값진 시간을 보냈다. 또 한 가지, 우리 연구실만의 연례행사인 누에 체액 짜기 역시 잊을 수 없는 추억이다. 우리는 매년 봄이면 농촌진흥청 산하에 ... ...
허블우주망원경 수리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데 성공했답니다. 2014년에는 제임스웹망원경이 새로 우주로 올려져 허블우주망원경의
뒤
를 이어 우주를 관측할 예정이에요. 따라서 허블우주망원경의 수리는 이번이 마지막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밖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건 왜일까? 그건 바로 양안시차 때문! 눈 앞에 손가락을 세운
뒤
먼 곳의 물체를 보면, 눈 앞의 손가락은 두 개로 보여. 이게 바로 양안시차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맺히는 상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란다. 3D 입체 영상은 이러한 양안시차를 쉽게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지나면서 마을
뒤
의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고 감탄했다. 기록에는 “프라이아그랑데
뒤
의 언덕을 지나갈 때 보이는 풍경은 숭고하며 그림 같다”라고 되어 있다. 지금도 그 모습은 변함이 없어 보인다.다윈이 이 곳에 머무는 동안 자주 찾아간 식물원이 올해로 200주년을 맞았다. 올해가 다윈 탄생 20 ... ...
Part 3. 나도 암호 전문가!
수학동아
l
200911
암호로 만들고 싶다면 먼저 “ㅇ ㅗ ㄴ ㅡ ㄹ ㅂ ㅏ ㅁ ㅈ ㅏ ㅈㅓ ㅇ”처럼 풀어 쓴
뒤
암호표에 따라 다른 글자로 바꾸는거야.돌돌 말면 보인다스키테일은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에서 전쟁을 벌일 때 썼던 암호야. 굵은 막대기와 글자가 쓰여있는 기다란 종이로 이루어져 있어. 종이에 쓰여 있는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11
10+1.1=11.1m에 가 있다. 조금만 시간을 더 보태면 따라잡을 수 있을 것 같다. 만약 1.11초
뒤
라면 아킬레스는 11.1m, 거북은 10+1.11=11.11m에 있다. 아킬레스가 이길거라는 상식에 맞춰 계산한 것인데도 뭔가 이상하다. 이것은 무한 반복이 무한한 결과를 낳아 아킬레스가 거북을 결코 따라잡지 못한다고 ... ...
신비한 수 π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11
아르키메데스나 유휘의 방법과 같다면 정12288각형까지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값은 그
뒤
1000년 가까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π값으로 남아 있었다.1596년 독일의 수학자 루돌프 반 쿨렌은 아르키메데스와 같은 방법으로 π값을 계산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무려 320억각형의 둘레 길이를 계산해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