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8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간 50억 번 내리친 번개, 원시 생명체 탄생 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당시 휘튼칼리지 학부생이었던 벤자민 헤스는 예일대 지구행성과학부 대학원에 진학한
뒤
이 돌덩이를 연구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6일자에 발표했다. 그는 논문의 제1 저자다. 연구에 따르면 당시 가정집 뒷마당에 떨어진 건 운석이 아니었다. 모래나 흙, 돌멩이에 ... ...
“걸을 때 왼쪽 무릎 더 구부려요”…걸음걸이 분석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수집했다. RGB-D 센서는 길이 약 12cm, 높이 약 3cm의 카메라 형태로 적외선 빔을 사람에 쪼인
뒤
돌아오는 정보를 이용해 머리 위치, 발 위치, 37개 관절 정보 등 사람의 3차원 골격정보를 파악한다. 연구팀은 이 정보를 순환신경망 알고리즘(RNN)에 입력하는 딥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한 결과 ... ...
당국 "AZ백신 접종 중단할 명확한 근거 없어…계획대로 접종"
연합뉴스
l
2021.03.17
입장을 밝혔다. 최근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등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은
뒤
혈전이 생성돼 사망했다는 사례가 보고되면서 20여개국이 예방적 차원에서 이 백신의 접종을 임시 중단한 상태다. 그러나 추진단은 국내에선 아직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인해 혈전증과의 관련성이 ... ...
각국 AZ백신 접종중단에 전문가들 "속도보다 안전성…확인 필요"
연합뉴스
l
2021.03.17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도 접종
뒤
혈전 생성 우려에 대해 "무조건 안전하다고만 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면서 "몇 가지 가능성을 갖고 조사를 해야 한다. 제조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입돼 백신이 오염됐다거나 인종 특성 때문이라든가 가설을 ... ...
기계연, 세계 최고 수준 효율·안전성 가진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7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판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전구체를 뿌린
뒤
섭씨 200도 이상 열처리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양자점은 액체로 만들어 기판에 뿌리거나 바르기만 하면 된다. 연구팀은 세슘납요오드화물과 포름아미디니움으로 조성된 2중 박막 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 ... ...
혈관 속 핏덩어리 '혈전'이 뭐길래…"60대 이상 더 잘 생겨"
연합뉴스
l
2021.03.17
게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앞서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뒤
혈전이 생기거나 혈전으로 사망하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유럽의약품청(EMA)은 오는 18일 특별회의를 열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어떻게 할지 결정할 계획이다. 중대본도 유럽의약품청의 결정을 ... ...
"유증상자 다중이용시설 출입만 막아도 집단감염 23%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유증상자가 이들 시설을 방문한
뒤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감염 관련 확진 사례가 23.1%에 달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제공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유증상자가 대중목욕탕 등 다중이용시설에 출입하는 것만 막아도 집단감염 발생의 23%가 감소할 것이라는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한 차례 옮겨졌다. 그리고 1990년대 덴마크 코펜하겐의 냉동고로 또 한 번 옮겨진
뒤
2017년 버몬트대에 다시 돌아왔다. 그들의 손에 들어온 건 그린란드 북서 해안에서 120km 떨어진 지점에서 시추한 코어 시료였다. 1960년대 미군 기지인 ‘캠프 센추리’에서 그린란드의 얼음 코어를 시추한 모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유리했던 것 아닐까. 컬럼비아매머드가 잡종 종분화의 결과라는 건 수십만 년이 지난
뒤
에도 크레스토프카 게놈과 아디챠/추코치야 게놈의 기여 비율이 일대일로 유지돼 있기 때문이다. 단순 혼혈이라면 임의로 짝짓기가 일어나므로 세대가 지날수록 일대일에서 멀어지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 ...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않고서는 검출할 수 없었다. 식중독균 배양에만 2~3일이 걸렸다. 그래서 식중독에 걸린
뒤
에야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 사전에 식중독을 예방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했다. 지능형물질및센서연구실은 자성나노입자를 이용해 5분 만에 음식에 식중독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