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부수적인 효과다』적응은 설계상의 증거를 통해서만 판별된다1960년 윌리엄스는
미국
뉴욕주립대의 교수가 됐다. 1966년에 명저 ‘적응과 자연 선택’을 출간했다. 부제 ‘현대의 진화적 사고에 대한 비평’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적응이라는 개념을 부당하게 사용하는 논의들에 대한 반론(34쪽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다양하게 실험할 수 있다고. 박 교수는 “기초과학 및 국가 보안 기술 연구의 중심인
미국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는 연구원을 채용할 때 직접 새로운 실험 장치를 구축하고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면서 “우리 연구실에서는 모든 연구원들이 프로그래밍을 배울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북극해와 북극권 주변의 기후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현재 AWI와
미국
오하이오대 버드극지·기후연구센터와 공동연구를 하고 있다.퇴적물에서 분석한 과거의 기록들은 현재 진행 중이고 앞으로 진행될 기후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다. 지구의 온도가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유라시아 대륙에 남아 있던 종보다 좀 더 오래 살았지만 결국 멸종했지요.2016년 3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러셀 그라함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섬에 갇힌 털매머드들의 멸종 원인이 ‘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연구팀이 매머드 화석을 채취한 세인트폴 섬은 빙하기가 끝난 이후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물체를 추가 에너지 투입 없이 식힐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
미국
콜로라도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띠는 절연체인 유전체(dielectricmaterial)로 만든 미세한 유리구슬을 고분자 필름안에 무작위로 삽입했다. 그 결과 태양에서 오는 빛과 열을 일반 물질보다 더 발산하는 특성을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마친 레건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체계가 많이 달라
미국
문화권의 이야기들보다는 정확성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언어와 문화에 따라 감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것이 문학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금처럼 사진을 첨부하는 방식으로는 각각의 개체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 심 소장은 “
미국
이나 일본의 경우 사이테스 부속서Ⅰ에 해당하는 종을 제외하고는 개인 간의 거래에는 특별한 제약을 두지 않는다”며 “현재의 제도는 행정력을 낭비하는 불필요한 제약”이라고 비판했다.이에 대해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있었다. 그 중에서도 러시아는 조사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의 필립 헥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린나강 퇴적층은 퇴적 속도가 느린 먼 바다에서 생성돼 입자가 강하게 응축돼 있다”며 “우주에서 온 미소운석이 희석되지 않고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대해 검증하는 테스트 동이 있다. 우주 기술 분야에서 앞서 나가는 나라라고 하면 흔히
미국
과 러시아를 떠올리는데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 대해 들으면 생각이 조금은 달라질 겁니다. 일단 현재까지 로켓을 100회 넘게 발사했는데(오!) 성공률이 90%에 육박하고요. 국제우주정거장(ISS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직접 전극을 이식할 필요가 없고, 외과 수술도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2011년 5월,
미국
남캘리포니아대(USC) 앨런 호사저 교수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눈이 먼 생쥐의 시력을 기초적인 수준까지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일본 오카야마대 연구팀은 아우어렙(OUReP)이라는 새로운 방식의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