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리포트’에 멤리스터의 존재를 부정하는 논문이 발표됐다.멤리스터는 1971년 미국 UC버클리 레온 추아 교수가 발표한 논문 “멤리스터-잃어버린 회로소자”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이 논문은 2017년 2월 현재 무려 3402회나 인용됐다). 전자회로의 수동소자 (증폭ㆍ전기에너지 변환 등 능동적 기능 없이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형성해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고등 동물이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거예요.최근 미국 화이트헤드연구소 연구팀은 ‘신경 전구세포’를 키워서 주름진 뇌를 만들어냈어요. 신경 전구세포는 몸에서 정보를 나르고 처리하는 ‘신경조직’이 될 수 있는 세포예요.연구팀은 이 세포의 특정 유전자가 제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닭이 살처분 되면 백신 원료인 유정란 공급에도 차질이 생겼지요. 그래서 2010년대 들어 미국, 한국 등에서 동물의 세포에 바이러스를 배양해 만드는 ‘달걀 없는 백신’이만들어지고 있답니다.●무정란 : 난자와 정자가 만나는 수정이 이뤄지지 않은 달걀로, 병아리로 부화하지 않는다.●유정란 : ... ...
- [과학뉴스] 어른이 돼도 자라는 뇌 부위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커지지 않는다는 기존 인식과 달리 계속 자라는 뇌 부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칼라닛 그릴-스펙터 교수팀은 뇌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부위는 어른이 돼도 계속 자란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월 6일자에 발표했다.그간 뇌의 부피 성장은 12세가 되면 완성되고, 각 ... ...
- [과학뉴스]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날 예정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레드필드 천문학과 교수팀은 보이저 1, 2호의 항로에서 성간구름 여러 개를 발견했다고 ‘미국천문학회’ 연례회의에서 1월 6일발표했다. 향후 외계 행성 탐사선을 보낼 때 참고할 수 있는 정보다.1977년에 발사된 쌍둥이 우주 탐사선 보이저 1, 2호는 지금껏 인류가 내보낸 우주선 중 가장 먼 거리를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지만 현 시대의 최고 성능의 의족도, 최첨단 생체 공학으로 다시 태어난 남자를 그린 미국드라마 ‘600만 달러의 사나이’가 가졌던 로봇다리와는 거리가 멀다. 시속 100km의 속도로 달리거나 수 m의 높이를점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굳이 초강력 모터를 집어 넣어 다리의 무게를 늘일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강력범죄 피해자 300여 명을 대상으로 뇌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있다. 미국의 경우, 강력범죄 피해자는 아니지만 해외파병 군인 등을 대상으로 충격적인 경험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 조사하는 연구를 2015년부터 진행 중이다.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그 해워싱턴에서 열린 ‘인간과 야수 : 비교 사회적 행동’이라는 학술대회에 초청받아 미국 땅을 밟았다. 해밀턴이 수식 모델을 하버드에서 발표하기로 한 날, 강의실은 기대에 부푼 교수들과 대학원생들로 가득 찼다. 해밀턴은 떠오르는 젊은 연구자로 이미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 트리버스는 그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페퍼먼 교수는 수학계의 대표적인 천재로 통합니다. 만 22살에 정교수가 돼 미국 역사상 최연소 교수 기록을 갖고 있고, 만 29살에 필즈상을 받았습니다. 함수에 대해 공부하는 해석학에 능통해 음악과 통신 등 다방면에 쓰이는 푸리에 해석과 관련된 문제를 많이 풀었습니다.울프상의 상금은 10만 ... ...
- [수학뉴스] ‘모아나’ 속 바다를 만든 건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영화 ‘모아나’에서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바다를 만들었습니다. 조셉 테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수학과 교수팀과 월트 디즈니 소속 연구팀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생동감 넘치는 바다를 구현했습니다.컴퓨터 그래픽으로 파도를 만드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유체의 ... ...
이전4384394404414424434444454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