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반면 150세까지 살 수 있다는 의견도 있어요. 미국 텍사스대학교 노화연구재단 스티븐 오스태드 교수는 2150년쯤 인간의 최고 수명은 150세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요. 왜냐하면 앞으로 20~30년 안에 인간 수명을 30% 정도 연장시키는 약이 개발될 거라고 생각하기 ...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텔로머레이스는 염색체의 끝에서 염색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효소예요. 198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엘리자베스 블랙번 교수에 의해 처음 발견됐지요.연구팀은 바닷가재의 심장과 피부, 근육 등의 세포를 추출해 유전 정보를 해독했어요. 그 결과 염색체 끝부분에서 같은 유전 정보가 ...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개와 아주 비슷해요. 예전에는 늑대가 개의 조상이라고만 알려져 있었지만, 지난 2014년 미국 시카고대학교 연구팀이 늑대와 개는 조상이 같은 ‘형제’ 관계라고 밝히기도 했죠. 다만 늑대는 개와 달리 사람에게 길들여지지 않아요. 오히려 사람과 활동영역, 먹이 등이 겹치는 경쟁상대랍니다.늑대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직업을 체험하는 걸 말해요.기자단 친구들이 처음 찾아간 곳은 웨스턴 타운이었어요. 미국의 서부시대로 꾸며진 곳으로 들어가자, 크기가 작은 말들이 친구들을 반갑게 맞아 줬지요.“이 말은 어깨 높이가 140cm 이하인 조랑말이에요. 아주 온순하고, 사람을 잘 따르지요. 지구력이 좋아 예전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덕분에 많은 생명체들이 살 수 있어요. 그런데 지구의 물을 모두 모으면 얼마나 될까요?미국지질조사국(USGS)이 지구의 물을 모두 모아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그런데 거대한 지구에는 겨우 한 방울로 보이는 물이 있었답니다. 게다가 물의 대부분인 97.5%는 마실 수 없는 소금기가 있는 물이었고, ...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어는 과정을 3초에 한번씩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영상으로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나노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구름이 미치는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냄새를 다른 하나, 또는 여러개의 냄새로 지워버릴 수도 있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착안해 미국 일리노이대와 IBM 토마스왓슨센터 연구팀은 악취를 없애는 ‘스멜캔슬링’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악취에 대적할 냄새를 더해 백색냄새를 만들어 코가 더 이상 악취를 느끼지 않게 하는 게 목표다. 이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부풀려서 채우면 끝오랜 비행으로 당신도 절절하게 체감했겠지만, 지구와 화성은 아주 멉니다. 가장 멀 때는 약 4억 100만km, 가장 가까울 때도 약 5460만km나 되죠. 오래 걸리는 만큼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지구에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1kg의 물건을 보내는 데에도 10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관계를 가지면 절대 계속 사랑에 빠질 수는 없다는 의미죠.과연 그럴까요. 이 논문을 쓴 미국 UC산타바바라 비안카 아세베도 연구원은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만 ‘서로에 대한 강박관념(obsession)’을 강조했는데요. 논문에서 정의한 낭만적인 사랑은 강박관념이 없되 강렬함,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공유한 가족이니, 가족의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 개인이 희생해도 괜찮다는 걸까.2007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논문 한 편을 보자(DOI:10.1073/pnas.0607426104). 논문의 결론은 간단하다. 마모셋의 이란성 쌍둥이의 조혈계 조직(간)과 각종 체세포, 그리고 정자에서 키메리즘(기원이 다른 세포나 ... ...
이전4394404414424434444454464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