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3) 팩스/모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5 모뎀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2천4백bps MNP 5 사양의 CCITT V.22 V.22bis 규격의 모뎀이
주로
판매되고 있지만 금년초부터 CCITT V.42 V.42bis를 지원하는 모뎀이 선을 보이기 시작했다. V.42 V.42bis 모뎀은 2천4백bps 모뎀에서 시리얼 통신시 9천6백bps의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통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잘 다루려면 명령어를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명령어란
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더러 '무엇을 하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마법사가 주문을 외듯이 사용자가 적절한 실행명령만 내린다면 컴퓨터는 무엇이든지 한다.여러분은 컴퓨터로 무엇을 하고 싶은가. 어떤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처리해 수소를 얻는 공정에 대한 연구를 칙수한 상태다.생물공학과 에너지와의 만남은
주로
바이오리액터를 통해 이뤄진다. 바이오리액터란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해 유용한 물질(여기서는 에탄올 등)을 얻고자 할 때 이 일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도와주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바이오리액터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생체내의 낮은 반응은도와 상압에서 물을 용매로 하여 작용하고 있다. 또한 효소는
주로
단백질로 구성된 생체분자이기때문에 주어진 반응조건에 따라 쉽게 그 구조가 변해 촉매기능을 잃어버린다. 따라서 효소의 물성과 특성에 맞는 산업기술구축이 먼저 요구되고 있다.넷째로 이제까지 효소의 ... ...
(4) 영상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나오는 음악이나 소리를 들으면서 PC작업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PC용 영상카드는
주로
대만 미국 캐나다산 수입제품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 두인전자라는 국내업체가 개발에 성공, 10월초부터 일반인에게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다.PC용 영상카드를 구입할 경우 TV 수신용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많다. 유전공학은 동식미생물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형질을 전환시키는 일을
주로
지칭한다. 생물공학은 유전공학적 기법도 부분적으로 사용하나 단클론항체 세포 및 조직배양 유기합성 등 여러 기술이 복합적으로 활용되는 경우를 폭넓게 지칭한다. 한편 생명과학은 유전공학 생물공학을 ... ...
(1)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낭비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지는 사용자가 PC를 이용해
주로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단순히 워드프로세서만을 사용할 것이라면 한글카드는 전혀 필요가 없다. 한글같은 워드프로세서에는 자체에 한글이 내장돼 있어서 한글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기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딱정벌레목 바구미과의 거위벌레는 7~10㎜의 작은 딱정벌레무리에 속하는 곤충이다.
주로
참나무 밤나무 등의 잎을 먹고 사는데, 어미 벌레는 입으로 잎의 옆맥을 갉아 잎을 자르고 줄기를 남겨 놓는다. 곧 시들어버린 잎 표면을 마주보게 세로로 접고 잎끝에 한개의 알을 낳은 후 잎끝을 둘둘 말기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 운영체제(OS)라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이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주로
디스크를 중심으로 한 파일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지기 때문에 도스가 나왔다는 사실은 지난 호에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자기진단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롬바이오스가 마지막으로 하는 일은 CPU가 컴퓨터를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생존하고 있었다. 즉 그 무렵 이미 거의 모두가 절멸하고 없었던 것이다. 그때 공룡들은
주로
북미 서부 내륙에 살고 있었다. 이미 그들은 급격한 감소의 길에 들어서 있었던 것이다.공룡은 소멸했다. 그러나 예일 대학교의 오스트롬 교수는 새들(조류)이 공룡에게서 갈라져 나왔다는 아주 유력한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