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습인데 이 속에 오늘의 기적을 일으킨 비밀이 있다.롬(ROM)과 램(RAM)반도체소자는
주로
정보의 저장 변환 처리 등에 사용된다. 우리가 보통 정보라고 부르는 문자정보 음성정보 화상정보 등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소자들도 디지털 소자와 아날로그 소자로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백악기 말에 나타난 프테라노돈 같은 익룡은 날개를 펴면 8m나 돼 멀리 날아갈 수 있었다.
주로
물고기 같은 동물을 먹었을 것으로 여겨진다.공룡에 속하지는 않지만 중생대의 바다에서는 어룡(魚龍)과 수장룡(首長龍)이 번식해 바다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았다. 이들은 수중생활에 알맞는 체제로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주파수 특성이 실리콘에 비해 우수한 갈듐비소 인듐인 같은 화합물 반도체가 MMIC제작에
주로
사용 된다. MMIC에 의한 무선통신 부품은 아직 상업용으로 개발되지 않았으나, 개발되기만 하면 위성방송수신용 TV안테나, 휴대용 전화기 부품, HDTV, 위성 간 통신용 무선통신기기에 응용될 예정이다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전회원이 열성적으로 참여해 천체의 운행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기도 한다.밤에
주로
활동하고 무거운 장비를 들고 다녀야 하는지라 '많이 먹는 동아리' '억센서클'로 알려져 있지만 알고보면 폴라리스 선배들처럼 부드러운 여자들도 없다고 동아리의 막내인 노승림(독어독문학과 1년)양은 말한다. ... ...
3. 국내 비디오텍스 현황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용하는지는 아직 정확한 통계가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비디오텍스 전용 단말기를
주로
보급한 프랑스와는 달리 PC통신의 한 부분으로 비디오텍스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우리나라서는 PC통신의 활성화가 곧바로 비디오텍스의 이용확대로 이어진다.국내 비디오텍스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기에 앞서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통일적인 제어 조절방식의 하나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대사의 조절과정에서 인산화는
주로
세린과 트레오닌에 인산기를 붙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 타이로신에 인산기가 붙음으로써 세포의 생장 및 증식조절기능을 떠맡게 된다. 세포내 인산화의 99%는 세린과 트레오닌에 의해 일어나며 나머지 1%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걸쳐 생활한다. 랩인은 북유럽의 북쪽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들의 생활수단은
주로
수렵이며 약간의 순록유목이나, 에스키모의 생활은 최근 백인의 영향으로 변하고 있다.북빙양 주변의 지질은 고기순상지로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과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고생대층이 이를 덮고 있다. 여기서 ... ...
노란띠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하늘소아과(Cerambycinae)에 속하는 노란띠하늘소는 주행성(走行性)으로 낮에
주로
활동한다. 8월부터 10월에 걸쳐 숲속의 야생화에서 꽃가루와 꿀을 핥아 먹고 있는 성충(成蟲)을 많이 볼 수 있다. 꽃의 꿀을 먹는 것은 생식기의 발육과 산란을 위하여 필요한 것인데, 이렇게 어른벌게가 된 다음에 먹이를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많은 별들의 모임이다. 산개성단은
주로
은하면과 나선팔에 분포하는데 반해 구상성단은
주로
은하핵과 그 주위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어 은하의 진화에 관해 여러 사실을 암시해주고 있다. 별의 종말앞에서 압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룰 때만이 별들은 안정된 모습을 이룬다고 기술한 바 있다. 즉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올라온 최초의 관속식물이 바로 솔잎란이라고 대다수의 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제주도 남쪽바닷가의 바위 틈에서 자라고 있다.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백마강가에 위치한 고란사 뒤에는 고란정이라는 샘이 있다. 이 고란정 뒤 절벽에서 고란초가 한때 자랐었다. 이곳이 백제의 ... ...
이전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