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경원인과 동시대에 존재한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정착한 인류가 원인 구인 현대인 순으로 진화되어왔다는 주장으로 화석의 연대측정에
주로
의존한다. 이에 반해 수만년전 아프리카 북부지역에서 현재의 인류가 나타나 세계 각 지역으로 퍼졌고 이들이 그 지역에 살던 원시인들을 대체해갔다는 단일기원설은 미토콘드리아의 DNA 유전자 분석에 그 ... ...
5 달·화성·목성에 진출하는 행성탐사선 외계의 신비찾아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위성의 특징을 살펴보면 미국은 아폴로 유인 달탐사를 준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주로
아폴로 우주선이 달에 착륙할 후보지역을 찾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이에 필요한 각종 사진촬영 및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위해 달 주위에 우주선을 보내 달의 위성으로 만들거나 아니면 달의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소나기를 흠뻑 맛볼 수 있을까.전국 별자리 관측회는 대도시끼리의 상대적인 대기오염도(
주로
먼지)를 알아내기 위해 도심을 주요 관측지역으로 설정했다. 그 결과 부산 서울 대구가 같은 수준으로 판정 됐고 대전 광주는 이보다는 상대적으로 광공해가 덜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쌍안경을 통한 극한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올 때까지 계속된다.IRRI는 1960년 포드와 록펠러재단 그리고 필리핀 정부의 지원아래
주로
아시아의 벼농사를 짓는 지역 농민들의 식량증산을 도와주기 위하여 설립되어 UPLB에 근접한 곳에 연구센터의 자리를 정하고 1961년부터 벼육종을 시작하였다. 1962년 2월 7일 록펠러 3세와 필리핀 대통령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발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골격을 분절해 수십회에 걸쳐 우
주로
이송한 후 우주공간에서 거대한 우주정거장을 조립하게 된다.현재 이 계획은 미국 의회와 행정부의 지지를 얻어 국제공동협력서가 체결되었으며 기본설계가 시작되었다. 우주정거장 프리덤의 국제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곤충류도 함께 탐사해야이찬호…저는 평소 나방에 관심이 있었는데 이번 탐사가
주로
낮에 이뤄져 지리산 나방을 채집하는데는 실패했어요. 어떤 지역의 식물상을 탐사할 때는 곤충상도 함께 살펴야 한다고 생각해요. 특히 나방이나 나비 같은 인시목 곤충은 애벌레시절부터 식물에 적지 않은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국제적인 쌀시장 개방압력 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품질이 좋고 수량도 많은 일본형 벼를
주로
개량보급하여 왔다. 새로 개량하여 보급된 일본형 벼는 60년대 이전까지 재배되던 것과는 식물체의 모습(초형)이 완전히 달라져 마치 통일형 품종들처럼 보인다. 키가 작으면서 잎이 늘어지지 않고 꼿꼿이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모드로 만들어졌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따라서 그래픽 모드의 소프트웨어를
주로
쓰는 사람들은 빠른 컴퓨터와 고해상도의 모니터를 선택해야 한다. 즉 컬러모니터와 386DX기종 정도의 컴퓨터가 적당하다. 그러나 워드프로세서나 간단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만을 쓸 사람이라면 286컴퓨터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평소의 주의력을 테스트하고자 하는 것보다 훨씬 큰 의미를 담고 있다.다 같이 숫자를
주로
사용하는 자판인데 왜 이렇게 달라졌을까. 끔씩 이 자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어도 전문적으로 자료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시간이나 입력시의 노동에 큰 차이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이유에 ... ...
2 해류·바람·환경오염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용되고 있다.과학위성은 임무에 따라 궤도선택이 이루어진다. 지구 원격탐사위성은
주로
7백㎞ 1천3백㎞의 저궤도상에서 지구를 약 1백분에 한번씩 회전하고 있다. 이와같이 저궤도 지구 탐사 위성들은 전 지구 표면을 거의 비슷한 시간에 관측할 수 있어 대기의 변화상태, 구름 및 강우의 분표 ... ...
이전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