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르름
선인
마법사
녹색
선령
뉴스
"
신선
"(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오줌 냄새가 겁 없는 쥐 만들어
2015.07.06
‘고양이 앞의 쥐’라는 말이 있듯이 쥐는 고양이를 두려워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말이 무색할 만큼 가끔은 고양이를 피하지 않는 쥐가 나타난다. 이 ‘겁 없는 쥐’를 만드는 것은 다름 아닌 고양이의 오줌 냄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러시아 생태진화연구소는 새끼 쥐가 고양이의 오줌 ... ...
해마 꼬리가 각진 이유는?
2015.07.05
바다에 사는 해마는 다른 동물과 달리 직사각형 판을 쌓아놓은 것과 같은 꼬리를 가졌다. - 도미니크 아드리언스 제공 벼룩처럼 제 몸의 몇 배를 뛰는 ‘벼룩 로봇’, 뱀처럼 땅 위를 슬금슬금 기어 다니는 ‘뱀 로봇’. 이들의 공통점은 생물의 움직임을 모사한 로봇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특이 ... ...
달달한 장미향 만드는 효소는?
2015.07.03
미국의 영화배우 메릴린 먼로는 잠자리에 들 때 향수 ‘샤넬 넘버 5’만 ‘걸친’ 것으로 유명하다. 먼로가 사랑했던 이 향수는 강한 장미 향이 매력적이다. 장미의 진한 향은 수백 종의 향기 분자가 모여서 만들어 낸다. 향기 분자 가운데 70% 이상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으로 불리는 종류다. 모노 ... ...
“제2의 메르스 막으려면 ‘감염병 전쟁’ 수준의 대처 필요”
2015.07.01
“이번 메르스 사태 때 (의료진에게) 보호복 착용법을 새로 교육시키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동안 실습을 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메르스 현황 및 종합대책’을 주제로 제 91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이종구 서울 ... ...
“중국을 아는 것이 미래를 준비하는 방법”
2015.06.30
조동성 서울대 명예교수는 23일 열린 제8회 과총포럼에서 중국의 위상 변화를 들며 "중국의 언어, 역사, 문화를 공부하고 중국인을 만나는 등 중국에 가까이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각 기관들이 중국 경제가 미국을 추월해 세계 1위가 되는 시점을 예측해왔습니 ... ...
‘2015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2015.06.30
“세계적 원자력 기업인 프랑스의 아레바와 7년간 국제특허 소송을 벌인 끝에 2013년 최종 승소 판정을 받았습니다. 오늘 이 상으로 그간의 마음고생이 싹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정용환 원자력연 단장.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정용환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기술개발단장(58)은 29일 미 ... ...
‘불멸의 세포’ 막는 장애물의 정체는?
2015.06.28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어쩌면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르는 세포의 내부가 담겼다. 죽음을 눈앞에 둔 세포는 결코 초라하지 않다. ‘불꽃 같은 삶을 살았다’는 말이 떠오를 정도로 화려하다. 표지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실타래처럼 응축돼 있는 세포의 염색체다. 녹색은 ... ...
암 치료 효능 8배 올리는 데 성공
2015.06.26
임용택 성균관대 교수(왼쪽)와 박영민 건국대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면역력을 높이는 물질을 면역세포까지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나노복합체를 개발했다. 이 나노복합체에 면역증강 물질을 결합한 결과 암 치료 효능이 최대 8배까지 획기적으로 높아졌다. 임용택 성 ... ...
시아노박테리아 생체시계 단백질의 ‘두 얼굴’
2015.06.26
iStockphoto 제공 생물은 몸속에 저마다 ‘시계’를 갖고 있다. 생물체에서 대사와 생리, 발생 등을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이런 시계를 ‘생체시계’라고 한다. 남조류인 시아노박테리아는 생체시계 연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미생물이다. 시아노박테리아의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있는 남성현 연구원(왼쪽)과 25년간 진드기를 길러온 ‘진드기 아빠’ 이인용 박사. -
신선
미 기자 vamie@donga.com “산에 가실 때는 등산복을 입고 가시는 게 좋습니다. 진드기는 발톱과 빨판으로 달라붙는데 등산복 소재는 촘촘해서 잘 붙지 못하거든요.” 14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으로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