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르름
선인
마법사
녹색
선령
뉴스
"
신선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여성 비하 발언 논란
2015.06.12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에서 강연 중인 팀 헌트 교수. - 세계과학기자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8일부터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고 있는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강연자로 참석한 노벨상 수상자 팀 헌트 영국 칼리지런던대(UCL) 명예교수가 여성 비하 발언으로 물의를 빚어 명예교수직에 ... ...
뇌중풍으로 마비된 몸 자꾸 움직이라는 이유
2015.06.12
뇌중풍(뇌졸중)으로 신체 일부가 말을 잘 듣지 않을 때 의료진은 이들 부위를 의도적으로 움직이고 자주 사용하라고 조언한다. 불편한 부위를 움직이는 게 재활 효과가 높다는 사실은 임상에서는 경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가령 뇌중풍으로 뇌 좌측 반구의 운동피질이 손상된 환자라면 신체 오 ... ...
현미경 이렇게 바꿨을 뿐인데…
2015.06.10
연구팀이 개발한 개량 현미경 모식도. 현미경 집광기에 조리개를 추가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필름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광학현미경을 개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준헌 광주과학기술원(GIST) 고등광기술연구소(APRI) 박사팀은 광학현미경 중 하나인 ‘암시야 현미경’ ... ...
첫 확진후 3주… 메르스가 바꿔놓은 대한민국 일상
동아일보
l
2015.06.10
서로의 건강을 챙기는 일이 자연스러워졌다. 주부 손모 씨(52·서울 마포구)는 “가족에게
신선
한 채소를 중심으로 한 아침을 꼭 챙겨 먹이고 자주 씻도록 한다”며 “가까운 주변 사람과도 수시로 메르스 예방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언론 보도를 통해 정보를 얻고 이를 실천하면서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아버지 같은 환자 고치기 위해 줄기세포 연구”
2015.06.10
야마나카 신야 교수의 기조강연 모습.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제공 “아버지는 제가 의사가 되기를 바라셨죠. 하지만 정작 제가 의사가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가 돌아가셨습니다. 그 뒤로 저는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과학이 아버지 같은 환자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 ... ...
신약 후보물질도 ‘바코드’ 찍어 확인
2015.06.08
이윤식 교수(왼쪽)와 정대홍 교수.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약 후보물질에 바코드를 매겨 후보물질을 빨리 찾을 수 있는 검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마트 상품에 붙은 바코드를 통해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윤식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정대홍 화학교육과 교수 ... ...
[미래를 듣는다 14] “지·덕·체 보다는 체·덕·지”
2015.06.08
지난달 26일 열린 제6회 과총 국가발전포럼에서 정운찬 이사장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체·덕·지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예전처럼 정형화된 지식을 배우는 데 그쳐서는 안 됩니다. 미래사회에 대처하는 법을 익혀야지요. ... ...
명왕성 주위를 도는 위성의 원동력은?
2015.06.07
네이처 제공 톱니 바퀴와 천체.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태양계를 기계 장치처럼 표현했다. 금색 톱니 위에 있는 가장 큰 천체는 얼마 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된 명왕성이고, 명왕성 옆으로 나란히 있는 천체는 명왕성의 거대 위성으로 알려진 ‘카론(Charon)’이다. 나머지 4개는 명왕 ... ...
“멀리 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괜찮다”
2015.06.07
비지니스 북스 제공 ■ 끝까지 해내는 힘(나카무라 슈지 著, 비즈니스 북스 刊) “시간이 걸려도 상관없다. 멀리 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괜찮다. 어쨌든 하나를 끝까지 완성하는 일,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나카무라 슈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vs.사스, 가장 정확히 비교 분석
2015.06.05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스(SARS)를 일으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잘 알려져 있다. 메르스와 사스 두 ‘사촌’ 바이러스는 각각 2014년과 2002~2003년 크게 유행한 적이 있는 만큼 바이러스의 치사율이나 전염력, 확산 등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