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이에요.두 시간 가량 이어진 강연이 끝난 뒤에는 ‘노빈손과 위험한 기생충 연구소’ 사인회가 열렸어요. 강연장 앞쪽이 가득 찰 정도로 많은 친구들이 줄을 섰는데, 교수님은 한 명 한 명 모두 사인해 주셨어요. 이날 강연을 들었던 유다은 친구는 “서민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똥을 싸면 잘 말린 뒤 세척해서 소금물에 넣고 24시간 팔팔 끓인다. 이렇게 똥을 끓인 뒤 남은 섬유질을 체에 거르고 편평하게 해서 그늘에서 말리면 종이가 만들어진다.➊ 코끼리 똥을 햇볕에 건조한다.➋ 세척 후 소금물에 끓인다.➌ 체에 걸러 말린다.➍ 코끼리 똥 종이 완성!특별 인터뷰 1코끼리 ... ...
- 보아뱀이 먹이를 먹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감은 뒤 어떻게 죽이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마취한 쥐를 보아뱀에게 준 뒤 관찰한 거예요. 그 결과 마취한 쥐의 혈액순환이 멈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죠. 그러면 온몸으로 피가 이동하지 못해 쥐는 의식을 잃고, 결국 죽게 된답니다. 그렇게 먹이가 완전히 죽으면 제가 통째로 삼키는 ...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사용하기로 했어요.붓을 이용해 형광분말을 묻혀 지문이 있는 곳을 부드럽게 쓸어낸 뒤 푸른빛을 비추었어요. 그러자 형광색을 띠는 지문이 더욱 선명하게 보였어요. 형광분말이 지문이 있는 자리에만 붙기 때문이에요. 범인의 지문은 소용돌이 물결 모양이었어요.이번에는 금고 앞에 찍힌 발자국을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발견됐어요. 이 얼음산은 명왕성을 구성하고 있는 메탄과 질소, 일산화탄소, 물 등이 뒤섞여 영하 230℃의 환경에서 얼어 있는 거예요.하트 모양 지형의 서쪽에 있는 스푸트니크 평원에서는 빙하가 흘러서 움직인 흔적도 발견됐어요. 또한 명왕성 표면에 운석 등이 부딪혀 생긴 크레이터는 생각보다 ... ...
- 귀신 쫓는 퇴마사 ‘ 기싱 꿍꼬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어디선가 응애응애~ 하는 아기 울음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뒤를 돌아보니 영화관 뒤쪽에서 커다란 아기 귀신이 썰렁홈즈에게 다가오는 게 아닌가!“응애응애~! 이 사탕 이상해 이상해! 엄마는 나한테 똑같은 사탕 두 개를 줄 테니 썰렁홈즈랑 나눠 먹으라고 말씀하셨어. 근데 봐 봐. 두 개의 사탕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플랑크톤이 대량으로 번식할 수 있었던 환경을 가진 바다나 호수에서 플랑크톤이 죽은 뒤 변해서 석유가 만들어졌다는 거지요. 플랑크톤의 골격을 이루는 단백질이나 셀룰로오스는 비교적 물에서 분해가 잘 되기 때문에 사라지고, 물에 녹지 않는 유지(기름)만이 남아 열과 압력을 받아 석유가 ...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북쪽으로 올라올 거라고 예상했어요. 그런데 이번 관찰결과는 기존의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일이었어요.말매미의 출현이 가장 빨랐던 지역은 서울 잠실지역으로, 2012년 6월 15일쯤이었어요.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수도권에 말매미가 출현했고, 안동이나 전주와 같은 남쪽 지방에도 점차 나타나기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또 전파가 이동하다가 다른 물체와 만나면 속도가 느려지지요. 이 과정에서 정보가 서로 뒤섞여 순서가 엉망이되거나, 정보가 도달하지 않을 수 있어요.그래서 전파보다 출력이 강한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이 등장했어요. 2014년 MIT(미국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와 NASA는 레이저와 전파망원경을 ...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관련된 데이터를 모으기 시작해, 7월 14일에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지요. 그리고 그 뒤엔 다시 멀어지고 있답니다. 앞으로 명왕성에서 멀어지는 동안에도 꾸준히 모은 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예정이에요.최근 뉴호라이즌호가 보내온 정보에 따르면 명왕성은 지름이 2370km로, 생각했던 것보다 약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