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26
이산화탄소를 내뱉는다. 그런데 물속은 산소가 거의 없는 환경이라서, 해안가에 사는
박테리아
들이 산소를 호흡할 수 없다. 따라서 물속에 가라앉은 유기물은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지 않은 채 곧바로 바닷속 흙에 묻힌다.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고 갯벌이나 바닷속 토양에 저장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BMAA 농도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샥스핀 스프. - 위키피디아 제공 시아노
박테리아
는 곳곳에 존재하고 따라서 이들이 내놓는 BMAA가 농축된 식재료를 찾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런 식재료를 피해야 신경퇴행성질환에 걸릴 위험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BMAA가 고농도로 존재한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항생제 안 듣는 내성균 물리칠 신약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역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스미스 박사는 “향후 모든 종류의 그램 음성
박테리아
를 물리칠 수 있는 항생제를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도 “아직까지는 동물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거쳐 후보물질의 효능을 입증해야 한다”고 밝혔다 ... ...
“간단한 구조물로 사막화 지역 녹지로 되돌려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파스테우리(SP)’를 살포해 쌓이는 모래가 단단하게 고화되도록 했다. SP
박테리아
는 콘크리트의 빈틈을 메우는 데도 활용되는 미생물이다. 충북과학고 팀은 모래 위에 골격구조를 설치하고 바람을 일으켜 사구 형태의 구조물을 완성한 뒤 지의류를 심고 수분과 빛을 공급했다. 그 결과, 같은 ... ...
아토피 앓는 쥐에게 발라줬더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면역치료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양 교수는 “이번 연구에 활용한 X형 DNA 물질은
박테리아
에서 추출한 것이 아닌 염기서열을 이용해 합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물질을 나노입자 형태로 포집해 피부에 바를 수 있는 제형으로 만들었다. 이를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쥐의 환부에 ... ...
슈퍼
박테리아
잡는 하이브리드 감광제 개발
과학동아
l
2018.08.31
인간 백혈구(초록색)에 붙잡힌 MRSA(분홍색)의 전자현미경 사진. - NIH(F) 제공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는 빠르게 퍼지고 항생제로도 ... 한꺼번에 진동하는 현상)’로 더 많은 활성산소를 만들고, 감광제를 한 곳에 모아
박테리아
에 집중적으로 타격을 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
의 바이오필름 제거
과학동아
l
2018.08.16
교수는 “
박테리아
만 선별적으로 사멸할 수 있다”며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
박테리아
도 공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7월 2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39/C8NR0276 ... ...
대장암 예방, 브로콜리를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5
건 장 세포 표면에 위치한 단백질인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AhR)’이다. AhR은 외부
박테리아
가 들어온 것을 감지한 뒤, 우리 몸의 면역세포나 장내 상피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에 문제가 생기면 제때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못해 염증이 생기거나 암에 걸릴 ... ...
암세포 끌어당기는 ‘자석 철사’
과학동아
l
2018.08.14
암 조기 발견에 집중돼 있지만, 자석 철사의 활용 가능성은 이보다 훨씬 다양하다”며 “
박테리아
감염 등 혈액 속 세포나 분자와 관련된 다른 질병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7월 16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51-018-0257- ... ...
[표지로 읽는 과학] 1부터 9까지 숫자 구별해 인식하는 분자 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18.07.22
‘네이처’ 19일자에 발표했다. 단순한 화학적 성분을 따라 생명활동을 조절하는
박테리아
부터 복잡한 냄새 정보를 구별해내는 인간의 뇌에 이르기까지 분자의 패턴을 식별하는 능력은 생명체에게 매우 필수적인 요소다. 이 같은 정보 처리 기능은 DNA 인공신경망을 통해 구현되긴 했지만,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