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박테리아
vs 항생제 내성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12.20
최근 이대목동병원에서 4명의 신생아가 숨진 안타까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 3명의 혈액에서 시트로박터 프룬디(Citrobacter ... 합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13년 06월호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2017년 06월호 ‘슈퍼
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 ...
DNA 나노 구조물로 그린 모나리자 미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0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생체 내에서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박테리아
크기의 미세 로봇 등을 만드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생명체(효모)의 힘을 빌리기는 했다) 게놈을 빼낸 다른 종의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기생
박테리아
로 살리는 시도가 성공했다. 소위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연구결과이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DNA만 화학적으로 만들었을 뿐 결과물은 자연의 생물체와 다르지 않았기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DNA를 해독할 수 있는 1세대 DNA 해독 기술을 개발했다. 생어는 이 기법으로 최초로
박테리아
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의 게놈을 모두 읽는 데 성공했다. 이 성공은 곧바로 인간의 세포 안에 있는 핵 DNA 전체(게놈)를 모두 해독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여기에서 두 번째 혁신이 일어났다. 30억 쌍에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빼 옥수수에 삽입하는 일이 가능하다. GM 기술은 개량에 필요한 유전자를 선별해
박테리아
와 결합한 뒤 개량하고자 하는 개체에 삽입하는 과정이다. 쉽게 말해서 크고 단 토마토를 만들기 위해 전통 육종은 큰 토마토와 단 토마토를 반복 교배시키며 원하는 품종이 선별되길 기다리고, GM 기술은 큰 ... ...
박테리아
와 자석 입자로 나노 변신 로봇 개발... 고성능 약물 전달체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김민준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기계공학과 석좌교수팀이 개발한, 나노 자석 입자와
박테리아
편모가 결합한 나노 추진 로봇 -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나노 로봇에 형광물질을 붙인 뒤 자기장을 가해 움직임을 관찰했다. 그 결과, 1초에 나노 로봇 자체 몸 길이의 수십 배에 ... ...
개에 물려서?... 패혈증 일으켜 사망 이르게 한 녹농균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17.10.24
말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는 녹농균을 항생제에 내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운 수퍼
박테리아
로 지정하고 있다. 윤 교수는 “균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든지 간에 1차적으로 개에 물리면서 상처를 입었기 때문에 녹농균이 환자의 몸속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라며 “중환자실을 찾는 환자들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해도 실제 필요한 양 만큼의 거미줄을 얻긴 힘들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대장균,
박테리아
, 효모, 식물, 심지어 염소 등을 유전적으로 조작해 거미줄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의 성과는 어느덧 실생활에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국의 스타트업 ‘볼트 ... ...
과학자와
박테리아
가 만든 ‘바이오 아트’ 보러 오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0.21
볼 수 있다. 다니노는 “사람들은 보통
박테리아
에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며 “
박테리아
의 아름다움이나 생물학 연구 등에 사용되는 긍정적 측면을 알리고 싶었다”고 작품 의도를 설명했다. 자성 유체를 활용한 작품 '형이상한 연못'.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닥드정 작가의 ‘형이상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들어간다. 델브뤽 역시 물리학에서 생물학으로 전향한 사람으로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아
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연구로 196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퍼듀대에 다시 자리를 잡은 벤저는 파지 유전학 연구를 이어나가다(유전자가 DNA 조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싫증을 느끼던 차에 1967년 칼텍으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