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가깝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시금치에서 광합성을 하는 단백질과
박테리아
에서 광전환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추출해 세포 내 대사작용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만들었다. 이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인공 세포막 내부에 삽입해 골격근을 이루는 단백질인 ... ...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빛 알갱이(광자)를 이용해 황
박테리아
(Chlorobium tepidum)의 광합성 능력을 측정했다. 이 황
박테리아
에는 광합성에 사용하는 7개의 분자복합체가 있다. 에너지의 흐름을 2차원으로 정밀하게 측정해 분석, 빛이 이 중 두 개의 분자를 흥분시킬 때 둘 사이에 에너지가 동시에 공유되는 순간을 포착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에 뿌리는 살생물제에 대한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8.05.19
등의
박테리아
가 꼭 나쁘게 변하는 것은 아니다”며 “오염물질을 이용하는 능력을 가진
박테리아
를 배양해 생물의 자정을 돕는 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
과학동아
l
2018.04.30
있다. 작은 사진은 1902년 12월, 스콧 원정대가 남극 맥머도 빙붕에서 수집한 시아노
박테리아
의 표본. - Tayler&Francis 제공 앤 융블루트 영국 자연사박물관 박사팀은 스콧 원정대가 로스 섬과 맥머도 빙붕에서 수집한 표본에 남아있는 남세균 덩어리들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분광 분석법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통한 들숨의 또 다른 기능은 냄새를 맡는 것이다. 화학적 감각, 즉 넓은 의미의 후각은
박테리아
를 비롯해 모든 생물이 지닌 원초적인 감각이다. 뇌의 전두엽에 있는 후각을 담당하는 후각망울 역시 구피질(paleocortex)로 불리는 원시적인 뇌 영역이다. 사람의 전두엽 대부분은 훗날 진화한 신피질 ... ...
간암 완치 가능해질까…간암환자 92.6%서 나타난 핵심 유전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당시 그는 톤이비피 유전자가 신장에서 소변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에 의한 감염에 대항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이 유전자와 간암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 ...
사람 장 속에만?...식물에도 마이크로바이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우리 몸 속에는 약 100조 개의 미생물이 인간과 공존하고 있다. 몸에서 인체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불과할 정도다. 이들 미생물 ... 연구해야 하는 이유다. 이 연구는 농사에 쓰이는 항균 펩타이드가 유익한
박테리아
를 함께 죽일 수 있다는 우려를 덜어주는 결과로도 풀이된다. ... ...
썩는데 수백년 걸리는 플라스틱, 며칠 만에 분해하는 효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발표했다. 페테이스는 2016년 요시다 쇼스케 일본 교토섬유공예대 연구원팀이 발견한
박테리아
에서 분리한 효소다. 당시 연구팀은 재활용 폐기물 시설 부근에서 PET를 분해해 대사에 활용하는 신종 미생물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를 발견하고, 여기에 두 종의 PET가수분해 효소가 관여하고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위산과다가 주원인이지만 위궤양은 아스피린 같은 약물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도 주원인이다. 16년 동안 8억 명 복용 위산과다가 생겼을 때 급한 불을 끄는 방법이 바로 제산제를 먹는 것이다. 즉 약알카리성 완충제를 먹어 위액(염산 용액)을 중화한다. 필자도 ... ...
슈퍼
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
과학동아
l
2018.04.17
작은 고리모양의 독특한 구조를 발견했다. 줄리 샤프 디킨대 선임연구원은 “MLP가 슈퍼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며 “오리너구리가 모유를 먹이는 독특한 방식 덕분에 특이한 항균 능력을 가진 단백질이 발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07/S2053230X1701770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