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아토피-암 치료 돕는 한국인 장 속 ‘착한 미생물’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와고 교수는 “암 환자들의 대변 시료에서 특정
박테리아
수치가 일반인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장내 미생물을 조절한 결과 항암 효과가 높아졌다”고 밝혔다. 최근 장내 미생물 조절로 암, 비만의 개선 효과를 확인한 김유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 ...
폐기물 수거대란, 해결책은 과학기술 vs 시민의식?
동아사이언스
l
2018.04.06
고분자연구소 요시다 쇼스케 박사팀이 찾은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Ideonella sakaiensis)
박테리아
가 가진 효소를 PET 필름에 바르자 하루에 1㎠당 0.13mg을 분해하는 것이 확인됐다. 꿀벌 부채 명나방 애벌레가 봉지를 먹고 있는 장면이다. -스페인 국립연구위원회(CSIC)제공 또 영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78 유형의 경우는 다른 유형의 클로스티리디움에는 없는 ptsT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다른
박테리아
에서 유전자 수평이동으로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ptsT 유전자가 발현돼 만들어진 단백질은 세포막에 박혀 있으면서 바깥의 트레할로스를 세포 안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RT07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이 대장균을 배양시키자 배당체인 인디칸을 만들어냈다. 한편 또 다른 대장균에는
박테리아
바실러스(Bacillus circulans)의 배당체가수분해효소(BglA)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즉 대장균 한 균주는 인디칸을 다른 균주는 배당체가수분해효소를 만드는 미생물 공장인 셈이다. 인디고의 연간 생산량은 5만 ... ...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
동아사이언스
l
2018.01.10
박테리아
를 원료로 삼았다. 쉰허 자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인체에 무해한
박테리아
를 원료로 3D프린팅용 잉크를 개발해, 사람 피부 위에 3차원 나무 모양을 인쇄했다. 나무 가지마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에 반응하는 세포가 배치됐다. 특정 화학물질과 반응하면 가지에 불이 들어온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깊숙이 숨은
박테리아
도 초음파 메아리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신호가 반사되면서
박테리아
의 위치와 개체 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기포 덕분에
박테리아
가 초음파 메아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샤피로 교수는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영상화 할 수도 있다”며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새 길을 연 것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결과가 발표됐다. 시카고대학 연구팀은 악성 흑색종 환자들의 대변 샘플에서 특정
박테리아
의 수치가 특히 높은 사실을 확인했다. 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화로 생기는 피부암으로 다른 피부암보다 전이가 빠르고 치명적이다. 연구팀은 악성 흑색종 환자 42명의 ... ...
미생물 메아리로 질병의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여기에 ‘GvpC’ 등 다양한 2차 단백질들이 결합돼 있음을 밝혔다. 특히 시아노
박테리아
에서 발현된 가스 운반체의 단백질 GvpA가 소리를 산란시켜 메아리를 만드는 효과가 큰 것을 확인했다. 초음파 기기에 더 잘 포착되는 소리를 만들어 내는 가스 운반체를 찾은 것이다. 연구팀은 이처럼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니켈 금속을 코팅해 몸체 전체를 자기장으로 조종하게 바꿨다. 속도가 한층 빨라져서
박테리아
의 거의 88% 수준의 속도로 헤엄칠 수 있다. 사람으로 치면 100m를 2.3초에 달리는 속도다. 적(암세포)을 만나면 이 속도로 돌진해 뚫어버린다. 김 교수는 “10월 개발한 나노로봇은 유연해 장애물을 피해 ... ...
알아두면 쓸데있는 고지방·고단백 식사법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포함된 식사로 식단을 바꿨다. 특히 백해드 교수팀의 경우는 몸에 좋은 비피도
박테리아
를 추가로 처리했다. 그 결과 장 속 융모세포의 수가 증가해 질량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루위츠 교수는 “두개 논문을 통해 얻은 결론은 하나”라며 “식이섬유를 통해 좋은 장내 미생물이 생활할 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