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방울로 세포 이동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빛(열 에너지)을 이용해 원하는데로 물체를 이동할 수 있다. - 명지대 제공 세포나
박테리아
같은 생체 조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낱개로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미경으로 조직 덩어리를 들여다 보면서 집게나 주사기 등 얇고 가는 도구로 낱개로 떨어져 있는 세포를 분리해 원하는 ... ...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6.24
업무지원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밤낮없이 일하는 보이틀러와 함께 그 역시
박테리아
배양기를 조절하거나 DNA 서열을 읽는 등 연구를 도왔다. 보이틀러 교수는 “이제 전 세계의 과학자들과 관계를 맺고 질병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폭넓은 연구를 펼쳐갈 것”이라고 말했다. ● ... ...
항생제 내성 생기는 건 ‘
박테리아
의 섹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6.19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 것을 규명했다. 우선, 인체 감염균과
박테리아
가 ‘
박테리아
의 섹스’로 불리는 접합 과정을 거쳐 서로의 DNA를 공유한다. 이후 방선균이 죽어 세포가 깨지면 항생제 내성 유전자와 감염균의 DNA 조각이 포함된 DNA들이 함께 나온다. 이 조각을 인체 감염균이 자신의 ... ...
미세먼지에 효과있는 마스크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분류되는 PM2.5는 지름 2.5μm 이하인 먼지를 일컫습니다. KF94와 KF99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같은 전염성 질병원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
면역력 키워 암 고치는 천연물질 국내 연구진이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6.15
스스로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돕는 약이다. 현재 쓰이는 암 면역보조제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로 만들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식물에서 추출하는 천연 물질에 주목했다. 천연 물질은 생물의 몸속에서도 독성이 낮아 안전한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면역 조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암 ... ...
미어캣 집단 소통 방법은? 바로 꼬리 아래 ‘OOOO 냄새'
동아사이언스
l
2017.06.12
레클레어 연구원은 또 “우리가 아는
박테리아
는 극히 일부일 뿐”이라며 “더 많은
박테리아
와 거기서 나오는 물질을 밝히면 동물의 소통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브루스 보이틀러 교수 “유행 따르지 말고 당신만의 연구를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보이틀러 교수는 앞으로도 신약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종에 관계없이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성 물질을 인식하는 TLR가 10여 개 정도 발견됐고, 쥐에서 LPS수용체 돌연변이를 일이키는 원인 유전자도 900여개 밝혔다”며 “이를 통해 병을 막는 단백질을 찾아 신약으로 ... ...
항생제 내성 진단, 3일 → 6시간으로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15
대한 항생제 오남용이 이뤄질 수 있다”며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이 세계적으로 슈퍼
박테리아
를 발생시킨 주요 원인이 됐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기술이 시급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항생제 감수성 검사(AST)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바이오 칩과 자동화된 분석 플랫폼을 개발했다. 세균을 ... ...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05.05
물곰이 건조 상태를 버틸 수 있게 한다고 추정했다. 건조 상태에서 잘 견디는 효모나
박테리아
, 일부 선충 등에서 공통으로 트레할로스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거듭된 실험 끝에 물곰의 몸에서는 트레할로스가 전혀 나오지 않으며, 유전자 분석에서도 이 당을 만드는 유전자를 찾지 ... ...
징그러울 정도로 거대한 환형동물...신기한 생태의 거대배좀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방출하는 지역으로 보통의 생물은 살수 없는 곳이다. 거대배좀벌레의 아가미에 사는
박테리아
는 황화수소를 에너지로 사용해 주변 물질을 유기물로 만들어 거대배좀벌레에게 공급한다. 마치 녹색 식물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기물로 바꾸는 과정과 유사하다. 미국 노스이스턴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