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풍선껌 알고 불면 더 커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져요. 롯데중앙연구소 우상민 연구원은 “껌을 씹고 약 3~5분 뒤 단맛이 모두 빠졌을 때 풍선을 가장 크게 불 수 있다”고 말했어요. 다만, 이 시간을 넘으면 단단해진 풍선껌을 혀로 밀어내기 어려워지고, 풍선껌을 부는 데 너무 많은 힘이 들어가 오히려 크게 불기 어려워요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기상에 영향을 주는 기온, 바람, 기압,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을 방정식으로 나타낸 뒤 시간과 공간에 따라 계산해 미래의 날씨 정보를 얻는다. 수치예보를 하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뉜다. 1단계에서는 기상에 영향을 주는 온도, 습도, 기압과 같은 값을 측정하고, 계산에 쓸 수 있도록 값을 정리한다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더는 감염되지도 않고 다른 개체를 전염시킬 수도 없다. 따라서 시간이 충분히 흐른 뒤에는 감염된 개체는 사라지고 건강한 개체인 S 또는 R만 남는다. SIR 모형은 스페인독감처럼 많은 사람이 죽거나 천연두처럼 병에 걸렸다가 나으면 후 천적 면역력을 얻어 다시 병에 걸리지 않는 전염병을 ... ...
-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올라가면 17분으로 그 시간은 확 줄어든다. 만약 좀비가 2시간 거리에 있다면 대략 4시간 뒤에는 좀비의 공격을 받게 되기 때문에 재빨리 도망쳐 좀비와 맞닥뜨리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좀비는 아무리 힘을 써도 지치지 않기 때문에 24시간 쉬지 않고 사람을 쫓는다. 따라서 언젠가는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어레이에는 딱딱한 바늘 형태의 전극이 약 96개 박혀 있다. 이 칩을 뇌에 한꺼번에 박은 뒤 외부로 선을 빼서 컴퓨터와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유타 어레이 칩은 뇌에 장착하는 동안 뇌혈관을 건드릴 가능성이 커 뇌출혈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게다가 딱딱한 칩 때문에 뇌조직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더 근본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계속해서 질문을 던져왔다.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현상 뒤에 숨어있는 자연법칙은 뭘까. 물질을 쪼개고 쪼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알갱이는 뭘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풀며 우주에 대한 인류의 이해가 깊어졌다. 지금 우리는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이유가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임플란트는 턱 뼈가 완전히 자란 뒤에야 시술이 가능합니다. 턱 뼈는 대개 만 18세 전후, 그러니까 성인이 될 무렵에서 성장을 멈추죠. 연구팀은 신약 개발이 무치증을 앓고 있는 미성년자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연구과제 제안서에 묶이면 안됩니다. 지금의 경직된 R&D 연구 운영은 연구자들에게 뒤떨어진 연구를 종용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R&D 예산의 약 30%는 관리 비용으로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R&D 예산이 원래의 목표대로 쓰이고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평가 정책과 시스템을 개선하겠습니다. Q 여성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학대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요양병원 CCTV의 영상이 필요한 상황이었지만, 이미 삭제된 뒤였다. 그런데 이 삭제된 파일이 요양병원 컴퓨터의 휴지통 폴더에서 발견됐다. 소 분석관은 컴퓨터 화면에 뜬 일련의 숫자열을 보여주며 설명했다. “파일을 열었더니 조각난 이미지들과 함께 이런 데이터가 ... ...
- [이달의 과학사] 갈릴레오 갈릴레이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또 당시에는 달이 매끄러운 구의 형태라고 믿었는데, 갈릴레이는 달을 관측한 뒤 달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이처럼 갈릴레이는 천문학이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위성 4개를 합쳐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갈릴레이가 고안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