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한"(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통해 π가 초월수임을 증명했습니다. 초월수는 대수적 수와는 달리 유리수인 계수가 유한개인 어떤 방정식의 해도 되지 않습니다. 원적문제가 원칙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판명된 후에도 수학자들은 여러 창의적인 방법을 동원해 원적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인도의 천재 수학자 스리니바사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20x20 행렬로 나타낸 게 더 정확하다는 거죠. 하지만 연구팀에 따르면 무한차원 행렬을 유한차원으로 나타낼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세계 수학자와 물리학자들은 컴퓨터과학자들이 자신들의 연구 분야의 난제를 풀자 당황했습니다. § 떠오르는 샛별상 §콘웨이 매듭 풀어 수학계 최고 학술지에 ... ...
- 정답 누설 수학 퀴즈쇼! 만능 수학 문제는?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정육각형 배치가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지만, 직사각형은 가로세로의 비율이 다른 유한 평면이라 비율이 일정한 원을 정육각형 격자로 쌓으면 원의 일부가 잘려 낮은 밀도를 보였다고 분석했습니다. 따라서 교실을 다양한 크기로 바꿀 수 있는 가벽을 설치한다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도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타원곡선의 방정식’이라고 합니다. 이 방정식에서 계수인 a와 b가 변할 때 해가 유한한지 무한한지는 아직까지 수학자들이 답을 찾지 못한 질문입니다. 바르가바 교수는 관점을 바꾸는 새로운 질문을 던져 이 문제에 돌파구를 마련했습니다. 이전까지 수학자들은 방정식을 분석해 해의 특징을 ...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쪼개면 실제와 똑같은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물체에서 유한요소법을 적용할 영역의 수와 넓이를 바꿔가며 그럴듯한 움직임을 만들어 내면서도 계산 시간은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찾는다”고 설명했다.움직임을 계산하는 시간 간격도 적절해야 한다. 그렇지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않은 난제였죠. 김 교수님이 푼 것이 이 난제예요. 김 교수님은 규칙에 따라 잘 선택하면 유한개의 곱셈표만 있어도 원래 r이 얼마였는지 알아낼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어요. 많을 필요도 없고 5개만 잘 추려내도 미분 가능한 정도를 알 수 있다는 것을 밝혔죠. 이번 증명은 해석학과 대수학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산재군에 대해서 아는 것이 별로 없었습니다. 괴물 같은 정리 속 괴물 같은 군 유한군의 바다에서 ‘보물찾기’를 하는 마음으로 특이한 산재군들을 찾던 콘웨이는 어느 날 어마어마한 크기의 산재군을 예측합니다. 콘웨이의 추측이 맞다면 이 산재군은 무려808,017,424,794,512,875,886,459,904,961,710,757,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2020년 1월까지 약 12억 개의 친화쌍을 찾아내죠. 하지만 친화쌍의 개수가 무한개인지 유한개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아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친화수 외에도 다양한 특징을 가진 수들이 고대 그리스부터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습니다. 친화수와 비슷한 ‘완전수’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인 ...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날개의 미세구조를 분석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미세구조의 형태를 관찰하고, 유한차분시간영역(FDTD)이라는 수치 분석기술을 이용해 날개 표면의 미세구조를 제거해 빛 반사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알렉산더 데이비스 듀크대 생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일반인이 받아내기 어렵다. 김 교수는 “혈액과 신경세포 등 모든 생체 조직은 수명이 유한하다”며 “반영구적인 기계와 완벽하게 어우러질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치료하는 장면을 넣은 것 같은데, 이는 현재 기술 수준을 고려하면 상당히 현실적인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