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한"(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약속’이다. 이런 인공지능은 대개 입력값을 넣었을 때 논리적으로 결과값이 나오는 ‘유한 상태 기계(FSM·Finite State Machine)’나 의사결정을 할 때 규칙이 정해져 있는 ‘결정 트리(Decision Tree)’, 문제를 해결할 때 전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 는 ‘규칙 기반 시스템(Rule Based System)’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회절을 연구했다. 프레넬 회절은 광원이나 관측점이 빛을 휘어지게 만드는 물체와 유한한 거리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프라운호퍼 회절은 광원 혹은 관측점이 회절시키는 물체보다 무한히 먼 곳에 떨어져 있는 경우다.류 씨와 친구들은 프레넬 회절의 경우 계산이 까다롭기 때문에 프라운호퍼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즉, 우주에 있는 실제 사물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우주에 끝이 있다는 거죠. 공간이 유한한지, 무한한지에 대한 질문은 ‘사물이 없어도 공간이 존재할까?’라는 질문으로 이어졌어요. 이에 대해 뉴턴은 사물이 있든 없든 절대 움직이지 않는 공간을 ‘절대 공간’이라고 불렀어요. 반면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보이지만, 덕분에 평면에서 유한개의 점을 뽑았을 때 몇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냐는 유한에 관한 문제로 바꿔서 생각할 수 있게 됐습니다. 1000년 살 수 있다는 생물학자가 문제 해결그 뒤로 얼마 전까지 이 문제에 관한 진척이 별로 없었습니다. 그러던 2018년 4월 8일, χ≥5라는 것을 증명한 논문이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암호학계의 주요 연구 주제로 각광받았다. 겹선형함수두 타원곡선군의 원소들을 결합해 유한체의 한 원소를 생성하는 함수로 선형 성질을 만족한다. 이제는 여러 가지 정보를 인터넷에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하고 처리하는 클라우드 환경이 암호시스템의 새로운 과제로 등장했고, 사물인터넷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문제가 있다. 방정식의 해가 10500개!초끈이론에서 나오는 방정식의 해는 대략 10500개다. 유한하지만, 사실상 무한하다고 봐도 될 정도로 큰 수다. 이를 해석하면 우리는 10500개의 우주 중에 우리 우주의 모습을 만들어내는 암흑에너지를 가진 곳에 우연히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박사, 언드라시 마테 영국 워릭대학교 교수, 올레크 피크후르코 워릭대 교수는 원을 유한개 집합으로 잘 분할하면 넓이도 정의되고, 각 집합을 평행이동만 해서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증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증명에서 생기는 집합의 수는 러츠코비치의 1040보다 좀 더 많습니다. 정말로 104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채색다항식의 성질을 밝히는 문제라면 로타 추측은 그래프뿐만 아니라 벡터 공간에 있는 유한 집합의 특성다항식까지 포함하는 일반적인 상황으로 범위를 확장한 겁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기하학적인 대상을 조합론 문제로 대응시킬 수가 없어 난항을 겪었습니다. 기하학적 대상이 있으면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모렐 교수의 대표 업적 역시 2005년 쓴 박사 학위 논문에서 나왔습니다. 특이점이 있는 유한체위 다양체의 코호몰로지에 대한 연구를 시무라 다양체에 응용해 랭글랜즈의 대응을 보였습니다. 분명 한국어인데, 무슨 말이지 모르겠지요? 시무라 다양체는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의 주요 문제와 밀접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증명을 할 수 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더 쉬운 문제긴 하지만, 왜 이런 무늬의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아마추어 수학자의 기여로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온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수학동아 독자들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