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한"(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그중 하나는 문제를 그래프로 확장한 겁니다. 그래프는 지하철 노선도처럼 유한개의 꼭짓점과 두 꼭짓점을 잇는 선으로 이뤄진 수학적 대상을 일컫는데, 어느 두 꼭짓점이 선 하나로 연결돼 있으면 그 두 꼭짓점은 이웃한다고 표현합니다. 특히 어떤 두 선도 교차하지 않게 그릴 수 있다면 이 ...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렇다면 같은 색의 수를 3개, 4개 말고 무한히 많이 뽑아도 거기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유한개 수의 합이 모두 같은 색일 때가 있을까요?이 문제는 미국 수학자 로널드 그레이엄과 린다 로스차일드가 만들었는데, 미국 수학자 닐 하인드만이 1974년 쓴 논문에서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하인드만의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 기사에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내야 할 상황에서 냉정함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 ... 이식해 영원을 누릴 수 있다고 한다면, 독자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인간으로 유한한 인생을 살 것인가, 로봇으로 영생을 누릴 것인가.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관심이 많아요. 조합론은 어떤 상황에 대한 경우의 수를 따지는 순열이나 조합처럼 유한한 대상을 다루는 분야예요. 다양한 문제를 참신한 아이디어로 해결하는 데서 매력을 느끼고 있어요. 지금은 이번 호 특집 기사에 나오는 ‘소파 문제’를 연구하고 있어요. Q 친구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점이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의문 1 - 미성년자에게 유독 위험하다던데? 1월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타미플루 복용 부작용 및 이상 사례 보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타미플루 복용후 추락사한 사고가 총 2차례 있었다. 2014년 2월, 당시 13세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몸 쓰는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업이었다. 던진 횟수가 10번이면 몇 번 성공했는지에 상관없이 무조건 슈팅 성공률이 유한 소수로 나오는 반면 던진 횟수가 7번이면 무한 소수로 나오기 때문이다. “앉아서 하는 과목으로 알고 있는 수학을 여러 활동을 하면서 배울 수 있는 과목으로 생각을 바꿔보고 싶었어요.” 보드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컸다면 지금처럼 쉽게 구할 수 없었을 거예요. 언뜻 간단해 보이는 상자 채우기 문제는 유한한 시간 안에 항상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NP-완전 문제’거든요. 수학적으로 풀린 문제는 컴퓨터가 알고리듬을 따라 정확한 답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NP-완전 문제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푸앵카레가 니체를 만났다면 이렇게 말했을지도 모릅니다. “시간은 무한하고, 우주가 유한하면 당신의 말은 확률 1로 옳습니다.” 물론 엄밀하게 말하자면 수학적인 조건이 더 필요하겠지만요. 어찌됐든 우리 모두 아모르파티 ... ...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해를 다 구할 수 있으면 랭크=2, 세 개면 랭크=3인 식으로 정의합니다. 반면 유리수 해가 유한 개일 때는 랭크=0입니다. 만약 골드펠드 추측이 참이라면 아직 체계적으로 푸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3차식의 해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다만 증명에 사용한 BSD 추측은 미국 클레이재단이 100만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훨씬 큰 수라는 것이 확실합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옳다고 하더라도 남아 있는 유한한 경우를 푸는 일은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