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흑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3월 7일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수성 탐사선 ‘메신저’가 수집한 적외선 스펙트럼과, 우주선(cosmic ray)에 실려 태양계에 들어온 뒤 수성에 반사된 중성자의 양을 토대로 표면 성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수성 표면에는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종의 잎맥을 분석해 종 간의 특징을 찾아내는 컴퓨터 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7일자에 발표했다.식물의 잎과 잎맥의 모양은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종마다 다르다. 하지만 그 차이가 워낙 미세해서 육안으로는 구분해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잎맥이 잘 보이도록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 LSST는 현재 ‘LSST 코퍼레이션’이라는 비영리 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프랑스 IN2P3 등 전세계 22개 대학과 연구소에서 100명이 넘는 과학자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올해 안에 MOU를 맺고 협력할 계획이다. 신 선임연구원은 “2020년 완공하면 LSST를 통해 찾아낸 천체를 2021년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김새에 대한 설명을 듣고 그림으로 잘 그려야 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1995~1999년 까진 미국에서 수입한 몽타주 프로그램을, 그리고 1999년부터는 한국인의 얼굴형, 눈, 코, 입 모양 등을 모은 몽타주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손으로 직접 그린 몽타주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답니다.현재 몽타주 ... ...
- [과학뉴스] 당신이 5분마다 한숨을 쉬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건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인데 정확한 조절 원리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그런데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마크 크라스노우 교수팀이 쥐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한숨을 조절하는 뇌 신경회로를 찾아냈다.연구팀은 쥐의 뇌세포에서 1만9000개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조사했다. 그 결과, 뇌간에 있는 200개 ... ...
- [과학뉴스] 어린이 애니메이션, 어린이에게 해롭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될 수 있다고 암시하고 있지만 이는 명백히 현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어린이의 4분의 1은 빈곤 계층이며, 이 중 10%만이 가난에서 탈출해 이른바 ‘신분상승’을 이룬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가난’ 온라인판 2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arXiv:1412.1897v4). ‘심층 신경망은 쉽게 바보가 될 수 있다’라는 제목의 이 논문은 미국 와이오밍대 연구팀의 작품이다. 알렉스넷은 사람이 보기에 별다른 의미 없는 노이즈와 패턴의 이미지를 아르마딜로, 야구, 거품, 황제펭귄 등으로 분류했다(위 그림 참고). 터무니없는 결과지만 알렉스넷은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재현성 문제에 관해 우려를 나타냈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존 이오안니디스 교수는 2005년 ‘왜 출간된 연구 결과들은 대부분 거짓인가?’ 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의학과 생물학 등의 분야에서 학술지에 출간된 연구들 중 상당수가 재현 불가능하다”고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부른 건 1928년 미국의 화학자 어빙 랭뮤어였다. 수은 기체의 방전을 연구 하던 그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이온화된 기체가 양전하와 음전하로 균형 을 이루는 영역을 플라스마라고 정의했다. 까다로운 플라스마의 조건 3가지플라스마에 대한 가장 쉬운 설명은 이렇다. 기체 상태에 충분한 ... ...
- [과학뉴스] 작은 카멜레온의 강한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끈끈한 혀를 길게 뻗어 순식간에 먹이를 낚아채는 사냥법으로 유명한 동물이에요. 최근 미국 브라운 대학교 크리스토퍼 안데르손 박사는 카멜레온의 몸집이 작을수록 먹이를 낚아채는 혀의 힘이 더 강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카멜레온이 혀를 뻗는 과정은 화살을 쏘는 것과 비슷해요. ... ...
이전4964974984995005015025035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