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중등_수학네일아트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아름다운 추억을 남겨보자.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테셀레이션을 다루고 있지 않지만, 미국의 MIC교과서나 핀란드의 교육과정에는 다각형의 성질을 활용한 테셀레이션이 포함돼 있다. 여기서는 테셀레이션을 담은 수학네일아트를 소개하고자 한다.알람브라 궁전의 패턴 벽화처럼, 동일한 패턴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어떤 개구리들은 등이나 주머니에 알이나 올챙이를 지고 다니며 새끼를 키워요.얼마 전 미국의 한 양서·파충류 보호단체에서 SNS에 사진을 공개해 화제가 된 ‘블랭거의배낭 개구리’가 대표적이에요. 콜롬비아에 사는 이 개구리는 암컷 개구리가 배낭을 짊어지듯 알을 짊어지고 살아요. 알은 ... ...
- [과학뉴스] 아침형 인간의 타고난 유전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결심하지만 결코 쉽지 않다. 그 이유가 유전자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의 유전자 분석업체 ‘23앤미(23andMe)’의 허유나 연구원팀은 8만9283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생활패턴과 유전자 정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자신이 아침형 인간이라고 답한 3만8937명(43.6%)의 유전자에서 공통점이 ... ...
- [과학뉴스] 혈액을 타고 달리는 하트 단백질과학동아 l2016년 03호
- ․ 생명공학미국국립보건원(NIH)이 2월 1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혈액 속에 가장 풍부한 단백질인 혈청알부민의 모양이 하트와 흡사하다는 연구결과를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혈청알부민은 혈장 속에 있는 단백질로, 삼투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인간과 동물의 혈청알부민 구조 ... ...
- [과학뉴스] 달이 높게 뜨는 날, 우산 놓고 가세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달이 높게 뜰수록 달의 중력이 강하게 미치는 셈이다.연구진은 1998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항공우주국(NASA) 및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열대강우량측정위성을 이용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달이 높이 뜨는 날일수록 강수량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달의 중력이 강하면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우주를 더욱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눈을 갖게된다. 라이고 프로젝트에 재정을 지원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프랜스 코르도바 이사장은 기자회견을 시작하며 “이제 새로운 창문이 열렸다”고 말했다. 과연 중력으로 본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또 앞으로 어떤 놀라운 발견들이 쏟아져 나올까.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꾸준한 신뢰성 향상을 보여주지 못했다”라는 비판도 했기 때문이다. 그가 올해 2월 미국 의회에 제출한 ‘2015 시험평가 연간 보고서’의 사드 항목을 보면, 애초 2012년에 지적된 39개의 문제점 가운데 29개만이 수정됐고 나머지는 2017년까지 수정하기로 돼 있다. 비밀로 분류된 7가지 추가 개선사항도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친레층에서 발견된 에피기아의 경우, 처음 발견됐을 당시에 공룡으로 분류됐을 정도다. 미국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쿠퍼캐니언층에서 발견된 슈보사우루스도 타조공룡으로 분류된 적이 있다. 이렇게 원시 악어와 공룡이 유사한 모습으로 진화하게 된 이유는 서로 살아가는 방식이 유사해서인 것으로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배양해서 내장을 만드는 데 성공해 최초의 오가노이드를 선보였어요. 지난 해 7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케빈 힐리 교수팀이 인간의 줄기세포로 0.5mm 크기의 3차원 미니 심장도 만들었지요.이밖에도 장과 신장, 간, 전립선, 유방 등 우리 몸의 대부분의 장기가 오가노이드로 만들어지는 ... ...
- [과학뉴스] 주사 No! 빛으로 백신 맞으세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예방 백신 맞기를 꺼려하는 젊은 엄마들이 늘고 있다. 한세광 포스텍 교수팀과 윤석현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주사 없이 빛을 쪼여 백신효과를 내는 약물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괴사된 근육을 치료하는 백신을 생체 투과성이 높은 히알루론산(HA) 물질과 섞어 피부에 바르도록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