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용의자는 지카와 유전자가 70%나 겹치는 뎅기바이러스다. 지카 백신을 연구하고 있는 미국 워싱턴대 세인트루이스 의대의 마이클 다이아몬드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지카와 뎅기에 둘 다 감염된 사람의 몸에서 항체가 교차반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 ‘항체 의존성 강화’라고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실을 이 교수와의 대화에서 새삼 느낄 수 있었다.진주현 박사는 법의인류학자다.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기관(DPAA)에서 미군 전사자의 유해를 찾아 신원을 확인하고 가족 품으로 돌려주는 일을 한다. 6․25 전쟁 때 실종돼 아직 유해를 찾지 못한 미군은 총 7900명. 그 가운데 약 3000명의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미국에 대해 앙심을 품고 있던 피고인은 2013년 7월 1일 대구 수성구에 있는 사설 어학원을미국 문화원으로 착각하고 불을 지르려고 마음을 먹었다. 이에 피고인은 같은 대학에 재학 중인 친구 김OO과 함께 구체적으로 방화를 계획하고, 2013년 7월 5일 인터넷을 통해 화염병 제작을 위한 재료를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지키기 쉽지 않다.미국 비영리의료기관 헬스파트너스 연구팀은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발행하는 학술지 ‘만성질환예방’ 2012년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doi:10.5888pcd9.110323). 주로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 직장인 34명을 대상으로,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는 근무 형태가 앉아서만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분류했다. 불안장애에는 이외에도 분리불안장애, 선택적함구증 등이 있다.그런데 미국정신의학회는 2013년에 불안장애에 속했던 몇몇 질환들을 따로 분류했다. 두려운 감정들이 다 똑같은 게 아니라는 뜻이다. 그중 하나가 강박장애다. 같은 행동을 비정상적으로 반복하는 강박장애는 편도체보다는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국내로 다시 돌아오겠다고 생각한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 핵연료 연구를 개척하기 위해 미국에서 5년 동안 우라늄을 자르며 실험했다. 안 교수는 “2028년, 사용후 핵연료 재사용에 관건이 될 소듐냉각고속로 원형로(PGSFR) 완공을 목표로 둔 지금이 우리나라 원자력에너지 발전에 아주 중요한 ...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좌우양옆 어느 쪽에서 보는지에 따라 생김새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입니다.최근 미국 디즈니 연구센터 과학자들이 사물의 방향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말과 소, 자전거와 오토바이처럼 전혀 다른 사물이라도 같은 방향에서 보면 비슷한 특징이 많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이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빨리 만들 수 있게 됐다. 난수 만드는 데 컴퓨터를 쓴 최초의 인물은 바로 헝가리 출신의 미국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었다.노이만은 유체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기 위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만들었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확률분포로 우연한 결과를 나타내주는 방법이다. 예측할 수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레오나르도 마르티네스-산도발 박사, 루이스 몬테하노 박사와 함께 연구해 2016년 2월 미국수학회가 발간하는 논문집에 소개했습니다.어떻게 결혼정리를 공간에 있는 점 문제로 확장했을까요? 예를 들어 A1, A2, A3, A4, A5, A6이 각각 평면에 있는 유한개의 점들의 집합이라고 합시다. 홀의 결혼정리의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대형 포식자였지요. 국립문화재연구소 임종덕 박사를 비롯한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땅을 긁은 것 같은 흔적 화석을 50여 지점에서 발견했습니다. 긁힌 자국은 최대 지름이 약 2m로 거대했지요. 긁힌 자국 60여 개가 무더기로 발견된 곳도 있었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흔적은 ... ...
이전499500501502503504505506507 다음